北 금융제재 해제-美 6자회담 복귀 선행요구
라이스-백남순 이달말 ARF 회동 주목


북한의 미사일사태 해결을 위한 중국의 외교적 노력이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11일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북한은 금융제재를 해제해야 6자회담 복귀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각각 굽히지 않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미국과 일본은 중국의 외교적 절충 노력을 일단 지켜보되 북한이 끝내 6자회담 복귀를 거부할 경우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결의안 처리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중국은 최악의 경우 일본이 제출한 결의안을 보이콧하겠다는 방침을 시사하고 나서 안보리에서의 표대결도 배제할 수 없을 전망이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물론이고 북미중 3국도 이번 사태의 해결을 위해서는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해법이 최선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어 중국의 대북 설득 성공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북한 백남순 외상과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이달 하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되는 제13차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참석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중국측은 친선대표단의 일원으로 평양에 간 북핵 6자회담 중국측 수석대표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부부장을 통해 북한측의 미사일 재발사 유예와 6자회담 재개 문제 등을 집중 협의했다.

중국의 이같은 설득 노력에 북한이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는지는 아직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소식통들은 북한이 미국의 금융제재 해제가 선행돼야 6자회담 복귀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관측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방문중인 김형준 북 외무성 부상도 이날 “미국이 대북 경제 제재를 해제하면 북한은 6자회담에 신속히 복귀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숀 매코맥 미 국무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베이징을 재방문중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중국측과 수차례 만나게 될 것”이라며 “북한이 어디로 향할지 아무런 정보를 갖고 있지 못하며 북한과 접촉중인 중국의 얘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힐 차관보는 중국 도착직후 “북한이 국제사회에 합류할 것인지의 전략적 선택을 하는데 관심이 있는지 알고 싶다”고 말했다.

조지 부시 대통령은 전날 G8(서방선진7개국+러시아) 정상회의 참석에 앞서 “중국이 북한을 설득, 6자회담에 복귀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그러나 우리는 유엔 안보리 옵션도 여전히 갖고 있다”고 강조, 강온 양면전략을 구사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 일본은 중국이 북한에서 벌이고 있는 외교적 해결노력의 추이를 지켜보기 위해 대북 제재결의안에 대한 안보리 표결을 하루 더 연기했다.

앞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은 양형섭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부위원장을 만나 이번 미사일 사태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면서도 “한반도 정세를 긴장시키는 어떠한 행동도 반대한다”고 강조, 안보리 결의안 채택 반대입장을 재확인했다.

안보리 의장국인 프랑스의 장 마르크 들라 사블리에르 유엔 대사도 “안보리 상임이사국 중 한 국가가 일본이 제출한 대북 제재결의안이 통과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갖고 있는 한 결과는 뻔한게 아니냐”고 반문, 중국이 비토권 행사를 검토중임을 시사했다./워싱턴=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