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끝전술 일환…불필요한 논쟁 회피 위해”
1998년 예고없이 발사 후 나흘 뒤 인공위성 주장


미국 본토까지 사정권에 둘 수 있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 움직임과 관련, 국제사회가 시끌한 가운데 정작 당사자인 북한은 침묵으로 일관해 그 배경이 주목된다.

북한당국과 언론매체는 지난달 19일 일본 언론에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움직임이 관측됐다는 보도가 나온 이후 한 달이 지난 20일 현재까지 미사일 발사와 관련,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단지 지난 19일 북한 조선중앙텔레비전이 러시아의 소리방송 논평원의 주장을 인용해 미국의 공중정탐 행위를 비난하며 자신들의 미사일 보유에 대한 정당성을 밝힌 것이 미사일과 관련한 유일한 언급이다.

이와 같은 북한의 ’침묵’은 그간 6자회담이나 남북관계 현안 등에 대해 즉각적인 반응을 보인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으로, 여기에는 전략적인 판단이 깃들어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우선적으로 북한의 침묵은 자신들의 ’시간표’ 대로 미사일 발사 준비를 진행할 뿐 불필요한 ’국제적 논란’에 개입하거나 말려들기를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간접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곧 지난 1일 “미국이 압박도수를 높이면 초강경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외무성 대변인의 담화 내용을 행동으로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북한은 1998년 8월31일 대포동 1호(북한은 인공위성 주장)를 쏘아 올릴 때도 아무런 예고를 하지 않았으며 발사 나흘 뒤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인공지구위성(인공위성) ’광명성 1호’를 발사했다”고 언급했다.

또 북한의 침묵은 미국의 관심과 대응에 연계해 발사에 따른 이해득실을 저울질 하면서 금융제재 해제 등 미국이 더 많은 양보를 하도록 압박하는 ’벼랑끝 전술’의 일환이란 시각도 있다.

북한은 1998년 8월 대포동 1호를 발사한 뒤 이듬해 9월 미사일 시험발사를 유예 하는 조건으로 미국으로부터 대북 경제제재 완화조치를 이끌어 냈다.

백학순 세종연구소 남북관계연구실장은 “북한은 미사일과 관련해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그 효과를 보고 있기 때문에 국제적인 논란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