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을 누르시면 전체 그림을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오는 10일 노동당 창당 60주년에 즈음해 중대 발표를 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북한은 그동안 5주년, 10주년 같은 이른바 ‘꺾어지는 해’를 중시해 중요한 결정을 발표해 왔다. 더욱이 올해는 60주년을 맞아 아리랑 공연 행사를 갖는 등 각종 기념행사를 성대하게 벌이고 있다.

북한은 당 창건 25주년인 1970년에는 5차 당대회를 통해 주체사상을 당 지도이념으로 표방했고, 경제발전 6개년계획도 채택했다. 또 30주년인 1975년에는 김정일 생일을 휴무일로 지정하는 등 후계 체제를 위한 기반을 닦았고, 35주년인 1980년 6차 당 대회를 통해 김정일 후계 체제를 공식화했다.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 방안도 이때 처음 제안했고, 50주년인 1995년에는 선군(先軍) 정치 개념을 처음 선보이기도 했다.

올해 60주년 당 대회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부분은 이번에 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후계체제를 가시화할지 여부다. 러시아 관영 이타르타스는 4일 평양의 ‘정통한 외교소식통’을 인용, “김정일의 후계자를 올해 안에 지명할지도 모른다”고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10일 조선노동당 창건 60주년 기념 축제와 (공개) 시기를 맞출 수도 있고, 당 중앙위원회 비공식 회의에서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김정일의 세 아들이 모두 비슷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정부 당국자들은 “후계 구도는 그 특성상 오래전부터 물밑 작업이 필요한 데 아직 어떤 가시적인 징후도 없다”고 말했다.

동국대 고유환 교수도 “후계자 문제는 내부적으로 결정했더라도 이번에 공식화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이번 당 대회에서 대남 또는 대외적으로 중대 제안을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 중앙대 제성호 교수는 “올해가 분단 60년이기 때문에 김정일을 통일지도자로 부각시키기 위해 이번에 노동당 규약을 개정할 가능성이 있다”며 “그러면 남한의 국가보안법 개정을 압박하는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김형기 전 통일부차관은 “최근 북한이 연방제나 통일이라는 표현을 쓰는 횟수가 줄어들고 있다”며 “이와 관련해 북한이 연방제 이름은 그대로 쓰지만 내용물을 바꾸는 획기적인 발표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고려대 남성욱 교수는 “최근 평양 분위기로 보아 후계체제 문제나 대남 유화 제안보다는 내부 결속과 선군정치를 강화하는 등 기존 노선을 확고히 하면서 경제건설 청사진을 제시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말했다.

고유환 교수는 “북한이 이번에 당 대회를 소집하지 않았고, 특별히 중대 발표를 내놓을 수 있는 정세도 아닌 것 같다”며 “특별한 발표없이 축제 분위기에 치중하면서 지나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 당국자도 “정부도 관심을 갖고 주시하고 있다”며 “6자회담이 걸려 있는 만큼 대외적으로 무엇인가를 내놓긴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대내적으로도 김정일 치적을 홍보하는 것 외에는 뚜렷하게 내놓을 만한 이슈가 없어 별 일 없이 넘어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 김민철기자 mckim@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