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가 소강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제4차 6자회담의 미 대선이전 개최가 무산된 가운데 북한에 특사를 보내야 한다는 주장이 여기저기서 제기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대북정책을 책임진 정동영(鄭東泳) 통일부 장관은 취임 100일을 맞아 지난 8일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남북대화가 열리도록 하기 위해서 특사파견을 포함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해 대북특사를 검토할 것임을 시사했다.

열린우리당 이부영(李富榮) 의장도 12일 오전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북한과 주변 4개국에 한반도 평화특사를 파견하는 방안을 대통령과 협의해 추진코자 한다"고 말하고, 특히 김대중 전 대통령을 특사의 적임자로 꼽았다.

한나라당에서는 이 의장의 언급에 대해 "깜짝쇼 방식이 돼서는 안된다"고 경계심을 늦추지 않으면서도 특사 파견 자체에 대해 강한 반발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처럼 대북 특사가 거론되고 있는데 대해 정부 고위당국자는 "6자회담이 열리지 않고 남북관계가 풀리지 않는 상황적 요소를 반영한 것으로 본다"며 "하지만 이야기가 나오는 것과 실제로 그렇게 되는 것은 차이가 있다"며 대북특사를 추진하더라도 신중하게 결정할 것임을 암시했다.

대북특사가 추진될 경우, 특사는 대통령을 대신해 가는 것인 만큼 현 정부에서 대통령의 대북 철학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어 이를 북한에 설명하고 이해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인물이 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경우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이종석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차장이 우선순위로 꼽힌다.

그러나 김대중 전 대통령측은 대북 특사로 북한을 가는 것은 부적절하지만 가능하다면 개인적인 방문 등을 통해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 측면에서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특사를 보낸다면 시기적으로 적어도 오는 11월 2일 미 대선은 지나야 하지 않겠느냐는 것이 정부측의 관측이다.

특사를 보내기 위해서는 북측과의 사전 물밑조율 작업이 필요하고 당장 이뤄질 수 있는 일도 아닌 만큼 3주 가량 남은 미 대선 결과를 일단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미국의 차기 대통령이 결정되면 북한의 입장에서도 한반도 주변 환경의 변화에 관심을 가질 것인 만큼 특사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가능성도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남북관계와 6자회담이 정체돼 있지만 미국의 대통령 선거 등 구조적 환경에서 비롯된 측면이 강하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급해하기 보다는 의연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