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방위에 국한됐던 주한미군이 동북아 안보불안에 대응하는 지역 안정자로 역할이 확대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10일 한국과 미국은 지난 4월부터 미래한미동맹 정책구상 회의를 시작한 이래 한미동맹이 장차 한반도 내외의 안정에도 기여하는 방향으로 발전돼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1953년 한미방위조약이 체결된 이래 한반도 방위만 전담했던 주한미군이 50년만에 지역 방위군으로 역할을 확대하는 데 양측이 원칙적으로 합의, 이를 근거로 주한미군 재배치 방안 등을 논의했다는 것이다.

양측은 또 주한미군의 역내 안정자 역할을 전제로 미2사단의 한강이남 재배치와 특정임무 한국군 이양, 판문점공동경비구역(JSA) 미군병력 감축 등에 합의했다고 국방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주한미군의 역할이 증대되더라도 한반도 방위력을 유지하고, 한국과 무관한 해외분쟁에 한국군을 개입시키지 않으며, 주한미군의 해외 이동 시 사전협의를 하기로 양측이 합의, 한반도 안보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주한미군이 지역군으로 임무가 바뀔 경우 그 동안 한국방위 전담을 전제로 비용을 전액 부담키로 한 용산기지 이전 문제와 주둔군지위협정 등도 재조정돼야할 것으로 보여 이 문제를 둘러싸고 논란이 예상된다.

주한미군의 역내 역할 강화는 해외 주둔 미군의 재편전략 및 군사기술혁명과 맞물린 것으로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이 취임 직후 미군의 경량화, 기동화 방침을 천명할 때 이미 예고됐다.

정부는 9.11테러 이후 크게 달라진 국제 안보환경을 감안해 미국의 세계 군사전략 재편을 대세로 판단, 수용했으며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지난 8.15광복절 경축사에서 천명한 자주국방론은 이 같은 배경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주한미군의 임무가 동북아 지역으로 확대될 경우 중국과, 러시아를 자극할수 있을 것으로 보여 향후 주변국의 반응이 주목된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