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해 남북한과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4강이 역사상 처음으로 27일 중국 베이징에서 한 자리에 모인다. 이번 6자회담은 북핵 문제뿐만 아니라 한반도 평화정착은 물론 동북아 정세 안정을 위해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회담 하루 전 각국의 입장을 미리 살펴본다.

우리 정부는 베이징 6자회담을 북핵 문제와 관련해 한반도 주변국들이 처음 모이는 일종의 발판으로 인식하면서, 당장 가시적인 성과보다는 6자회담의 공감대를 넓혀가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윤영관(尹永寬) 외교통상부 장관이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6자회담에서 너무 큰 것을 기대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 차기 회담으로 연결되기 위한 기반이 구축되고 회담을 통한 문제해결이라는 모멘텀(momentum)이 강화되며, 6개국이 이 회담이 계속돼야 한다는 믿음이 굳어지는 것, 그리고 차기 회담의 일정을 확정하는 것들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고 말한 것도 이 때문이다.

다만 정부 당국자들은 단계별, 미·북 동시이행이라는 원칙하에서 북핵 해결의 커다란 방향은 6자회담에서 제시하겠다는 입장이며 북한이 핵해법에 있어 전향적 태도를 취할 경우 남북간 경협의 대폭 확대도 강조할 방침이다.

반면 북한은 6자회담에서 미국만을 상대로 핵문제와 체제보장 문제의 ‘빅딜’을 시도하겠다는 점을 천명하고 있다. 이번 회담을 앞두고 지난 13일 밝힌 외무성 대변인 담화에서 북한은 “미국의 대북 적대정책 전환이 확인된 후에야 핵사찰 등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북한은 특히 대북 적대정책 전환의 방안을, 미·북 불가침조약 체결 북한과 다른 나라와의 경제협력 방해 반대 미·북 외교관계 수립 등 세 가지로 구체화하고 이것이 이루어진 다음에야 미국이 요구하는 조기 핵사찰을 수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北京=權景福기자 kkb@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