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의 ‘전략 토론회’ 순서에는 한국·미국·일본·캐나다·독일·프랑스 등 6개국에서 8명의 전문가들이 참가해 북한 주민들의 인권상황 개선과 탈북자들의 안전을 위한 해결 방안에 대해 토론했다.

일본 도쿄대(동경대)의 오가와 하루히사 교수는 “북한 정치범 수용소는 가족까지 수감시켜 더욱 큰 문제”라면서 “수감됐던 사람들의 수기를 우리 청소년과 학생, 지식인들에게 읽도록 하는 운동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영기 일본 RENK 대외부장은 “탈북자 지원에 있어 북한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북한내 인권개선을 위해 북한 내부와 연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국내 인권상황 개선을 위해 노력해온 제임스 시모어 미국 컬럼비아대 동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한국 NGO들이 북한 인권실태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외국에 제공하고, 국제 NGO들이 영향력을 발휘하는 등 연계해 활동하자”고 제안했다.

칼 하펜 국제인권협회 독일지부 사무국장은 “북한 인권에 대한 침묵을 깨는 시도가 필요하다”면서 “NGO들이 인터넷 웹사이트를 만들어 북한 주민들의 인권침해 사례를 널리 알리자”고 제안했다. 캐나다의 알렉산더 엡스틴 인권 변호사는 “북한은 현대판 노예국가”라며 “불법 국경 탈출만이 외국으로 나갈 수 있는 기회이지만, 노예국가의 공범인 중국과 러시아에 의해 안전을 보장받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피에르 리굴로 프랑스 ‘사회사평론’ 편집장은 “국제 구호단체들의 대북(대북)지원시 ‘인권 개선’을 반드시 연계시키도록 하자”고 주장했다.

/김인구기자 ginko@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