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 핵사태와 관련, 이번주에 중국, 내주 러시아에 각각 고위급 대표를 긴급 파견하는 등 북한의 핵시설 재가동 저지를 위한 총력 외교활동에 나서기로 했다.

중국에는 내달 2일 이태식(李泰植) 외교부 차관보가 급파돼 왕 이(王毅) 외교부 부부장과 회담할 예정이며, 1월 둘째주에는 김항경(金恒經) 외교부 차관의 러시아 파견을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또 한.미.일 3국간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회의를 내달 7,8일께 워싱턴에서 열어 북한의 핵동결 해제 조치에 따른 대응책을 포괄 협의키로 했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자와 부시 미 대통령간 합의에 따른 제임스 켈리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의 방한은 TCOG 회의 이후가 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TCOG 회의에선 특히 북한의 잇단 핵동결 해제조치에 따른 대북 경수로 공사 중단 여부 및 중단 시점, 경제제재를 포함한 대북 압박 방안, 북핵사태의 유엔 안보리 회부 문제 등에 대해 포괄적인 협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더 이상 상황을 악화시키지 말고 지금까지 취한 조치를 원상회복할 것을 강력히 설득해 줄 것을 중국, 러시아측에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북한이 더 이상의 조치를 취할 경우 이번 사태가 더욱 심각해 질 것이라는 점도 전달할 것"이라면서 "최소한 북한이 농축우라늄(HEU) 핵개발 계획 폐기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것이 이번 사태해결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북한의 사찰관 추방 통보 및 핵 재처리시설 재가동 선언에도 불구하고 내달 6일 열릴 특별이사회에서 곧바로 북핵사태를 유엔 안보리에 회부하지는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IAEA 핵심 이사국들은 최근 사전협의를 통해 안보리 회부에 앞서 북한의 원상회복 조치를 우선 요구키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다른 당국자는 "우선 북한에 핵안전조치협정 회복을 비롯한 시정을 요구하는 등 IAEA 차원의 모든 조치를 취한 다음 더이상 IAEA 차원에서 해결방법이 없다고 판단할 경우 최후의 방법으로 안보리에 회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에 상주하던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관 3명은 북한의 추방조치에 따라 오는 31일 항공편을 이용해 베이징(北京)으로 출국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사찰관은 그러나 27일 출국 요구를 받은 뒤 아직 북한 당국으로부터 특별한 활동 제한을 받지 않고 있으며, 북한은 핵 재처리시설 봉인제거 및 감시카메라 작동정지 외의 실질적인 재가동 준비작업에도 착수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