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과 국무부가 15일 일본과 북한의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어떤 대화든 지지한다”고 밝혔다. 전날 한국이 북한의 ‘형제국’ 쿠바와의 수교를 발표한 뒤,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부장이 “일본이 정치적 결단을 내린다면 두 나라가 새로운 미래를 열어나갈 수 있다”며 일본과의 관계 개선 의지를 보인 데 대한 반응이다.

북한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평양 방문 카드를 이용해 한·미·일 삼각 협력 구도를 흔들어 놓으려는 의도를 감추지 않고 있다. 게다가 11월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되면 북한은 핵 동결 카드로 제재 해제를 얻어내는 거래를 시도할 가능성이 크다. 한·미·일 결속의 지속적 약화와 한국의 고립을 꾀하는 ‘통(通)미·일, 봉(封)남’ 전략인 셈이다.

그래픽=이철원
그래픽=이철원

일본 정부는 최근 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한 북·일 정상회담을 모색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지율이 16.9%로 최저점을 찍은 기시다 내각이 국면을 전환할 돌파구를 찾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김여정은 15일 담화문에서 “일본이 우리(북한)의 정당방위권에 대하여 부당하게 걸고 드는 악습을 털어버리고 이미 해결된 납치 문제를 장애물로 삼지 않으면 두 나라가 가까워지지 못할 이유가 없다”며 “(기시다 총리가) 평양을 방문하는 날이 올 수도 있다”고 했다. 북한은 지난달 일본 노토반도 지진 때 이례적으로 기시다에게 ‘각하’ 호칭을 쓴 위로 전문을 보내기도 했다. 일본 정치 상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15일 미국평화연구소에서 열린 세미나에서는 “북·일 정상회담 움직임을 어떻게 보나. 북한이 (한·미·일) 삼각 협력을 방해하려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나”란 질문이 나온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이 자리에서 미라 랩-후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선임보좌관은 “미국이나 다른 국가가 원하고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면 북한과의 관여를 지지하고 협력하며 서로 협의한다고 말하겠다”고 답했다. 정 박 국무부 대북고위관리도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이 러시아가 아닌 다른 어떤 종류의 외교든 하는 것은 긍정적인 일”이라고 했다. 11월 대선을 앞두고 북한이 대형 도발에 나서면 현직인 조 바이든 대통령 책임론이 제기될 수밖에 없어, 바이든 행정부는 대화를 통한 한반도 상황 관리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다.

다만 미·일의 이런 반응이 곧바로 한·미·일 삼각 협력의 약화를 뜻한다고는 볼 수 없다. 박 국무부 대북고위관리는 “북한은 항상 우리(한·미·일) 관계나 일본과 다른 나라, 한국과 다른 나라의 관계를 갈라놓는 데 관심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북한의 의도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는 뜻이다.

외교 소식통은 “김여정의 대화 제의를 보면 관계 회복을 위해서 납치자 문제와 북핵 문제는 거론하지 말라는 것인데, 일본 총리 입장에서 저 조건을 받아들이는 것은 정치적 자살 행위”라며 “현재 상황에서 일·북 관계가 의미 있게 진전되기는 쉬워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김숙 전 유엔 대사는 “한·일 양국 정계·재계 원로 및 민간 차원에서 미래지향적인 양국 관계를 그려나가며 관계를 진전시켜야 북한에 대응할 수 있다”며 “현 단계에서 김여정 발언에 호들갑을 떨 필요는 없다”고 했다. 위성락 전 주러 대사는 “북한은 미국·일본과만 대화하려 하고 한국은 배제하려 할 것”이라며 “한반도 문제 논의에서 우리 외교 정책 공간을 넓히려면 강경과 온건이 섞인 대북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