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미국 백악관에서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이 브리핑을 하고 있다./EPA 연합뉴스
19일 미국 백악관에서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이 브리핑을 하고 있다./EPA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북한이 수중 핵무기 체계를 시험했다고 발표한 데 대해 진위 판단을 유보했다. 또 북한에 도발 중단 및 외교로의 복귀를 촉구하면서 한일 등과 함께 대북 외교 및 억제 노력을 긴밀히 모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19일 브리핑에서 북한의 수중 핵무기 체계 시험 발표에 대해 “특정한 정보가 많지 않다”며 “우리는 그 같은 주장을 입증할 위치에 있지 않다”고 했다. 이어 “우리는 한국 정부와 접촉을 통해 이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파악 중”이라며 “이런 차원에서 실제 북한이 수중 핵무기를 실험했는지에 대해 확인할 수 없다”고 부연했다.

한편 그는 북한의 고강도 위협 언사에 대해선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밝혔다. 커비 조정관은 “김정은과 북한 체제가 이어온 지속적인 도발은 그것의 진위 여부를 떠나 지속적인 문제”라며 “그들이 이웃과 역내를 위협하기 위해 군사력 확장을 추구해 왔다는 점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규탄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한국과 미국을 겨냥한 핵 및 전쟁 위협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커비 조정관은 “우리는 핵 능력을 포함해 군사력의 지속적인 증강을 추구하고 있는 체제를 책임지는 사람의 수사는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했다. 그는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그 같은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하며, 김정은은 군비 증강이 아니라 북한 주민들의 식량 공급에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커비 조정관은 북러 외무장관 회담을 포함한 밀착 강화에 “북러의 밀착에 대해서는 여러 차례 언급했다”며 “이 두 나라의 밀착은 우크라이나 뿐 아니라 우리의 이익을 비롯해 한반도에 분명히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언급했다.

앞선 16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최선희 북한 외무상을 만났다. 이 회담에서는 지난해 9월 북러 정상회담 협의 이행 상황과 한반도 문제 등이 논의됐고,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 일정에 대한 의견도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