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이 9·19 남북 군사합의 때문에 연평도·백령도 등에 배치된 K-9·비궁 등 주요 화기를 사격 훈련이 필요할 때마다 화물선이나 바지선, 트레일러에 옮겨 실으며 경북 포항까지 갔다 오는 등 ‘왕복 1200㎞의 원정 훈련’을 했던 것으로 26일 파악됐다. 반면 2010년 연평도를 포격했던 북한 4군단은 옹진반도 등에서 우리 서해 도서를 겨냥한 포격 훈련을 지난 4년간 100회 넘게 실시한 것으로 파악됐다. 문재인 정부가 9·19 합의에서 포격 훈련을 할 수 없는 서해 완충 구역을 ‘바다’로 한정해, 우리 군은 발이 묶인 반면 북한 군은 옹진반도 등 내륙에서 포격 훈련을 한 것이다. 백령도 등 서북도서는 서해 완충 구역 안에 있어 포를 전혀 쏠 수 없다.

본지가 서북도서 부대의 사격 훈련 현황 등을 분석한 결과, 우리 군은 연평도·백령도 등에 배치된 화기를 옮겨 훈련하느라 지난 4년간 130여억원의 국방비를 추가 지출했다. 서북도서를 관할하는 해병대는 9·19 합의 이전인 2017년까지 K-9자주포, 천무(다연장 로켓) 등 주요 화력 무기 사격 연습을 현지에서 실시했다. K-9의 경우 연 4회 꾸준히 해상 사격 훈련을 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가 2018년 북한과 9·19 합의를 체결하면서 서북도서의 사격 훈련은 전면 중단됐다. 당시 정부가 북한 요구를 대폭 수용해 “북방한계선(NLL) 기준 이북 50km·이남 85km인 초도~덕적도 수역에서 포 사격을 중지하고 해안포·함포에 포신 덮개를 설치하고 포문도 폐쇄”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해병대는 K-9 사격 훈련 횟수를 기존 연 4회에서 2회로 줄이는 등 최소화했다. 훈련을 하더라도 현지서 화기를 빼내 시중에서 빌린 바지선에 싣고 바다 건너 경기 연천이나 멀게는 경북 포항까지 나와야 했다.

해병대가 2019년 4월 9·19군사합의로 백령도에서 사격 훈련을 할 수 없자 K-9자주포를  화물선에 실어 평택항에 내려 육지 사격장으로 이동하는 모습. /해병대
 
해병대가 2019년 4월 9·19군사합의로 백령도에서 사격 훈련을 할 수 없자 K-9자주포를 화물선에 실어 평택항에 내려 육지 사격장으로 이동하는 모습. /해병대

특히 북한의 백령도 침투 저지용인 유도 로켓 비궁이나 이스라엘 대전차 미사일 스파이크는 직선거리로만 460km, 이동 거리로는 600km가 넘는 해병대 포항 사격장까지 옮겨야 했다. 화기가 육지로 철수됐을 때 생긴 전력 공백은 김포·포항 등에 있는 것들로 대체 투입해 메웠다. 화기·병력 이동 시 안전 문제 등도 발생했다.

북한 170㎜ 자주포 사격 장면.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 170㎜ 자주포 사격 장면.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北 황해도서 백령도 겨냥 100회 넘게 포 사격 훈련

반면, 북한은 옹진반도 등 내륙에서 9·19 합의 영향을 받지 않고 포격 훈련을 했다. 특히 북한 4군단은 지난 4년간 100회 넘게 우리 서북도서와 인천·경기 수도권을 겨냥한 포격 훈련을 실시했다. 4군단은 다수 보병사단과 포병여단 등으로 편성됐는데, 240mm 방사포를 비롯해 다수의 야포·해안포로 무장돼 있다. 2010년 고(故) 서정우 하사 등 총 23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2010년 연평도 포격 사건도 4군단 소행이었다. 북한은 도서 지역 바로 뒤에 병풍처럼 쳐져 있는 황해도 해안을 적극 활용해 언제든 제2의 연평 포격을 감행할 태세를 유지해온 것이다. 문재인 정부 협상팀이 9·19 협상을 할 때 서해 완충 구역을 ‘바다’로만 한정해 한국군에만 더 많은 ‘족쇄’를 채우는 불리한 결과를 만든 것으로 분석됐다.

2018년 6월 14일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남북장성급군사회담에서 김도균 수석대표(오른쪽 세번째)와 안익산 북한 수석대표(왼쪽 세번째)가 악수하고 있다. 이들은 9·19합의 협상을 했다. /국방부
 
2018년 6월 14일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남북장성급군사회담에서 김도균 수석대표(오른쪽 세번째)와 안익산 북한 수석대표(왼쪽 세번째)가 악수하고 있다. 이들은 9·19합의 협상을 했다. /국방부

실제로 북한은 9·19 합의 체결 1년여밖에 되지 않은 2019년 11월 완충 수역으로 포격을 가한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서해에서만 총 8차례 합의를 위반하며 해안포 사격을 했다. 북한의 개성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을 포함하면 9·19 위반 총 횟수는 18차례인데, 이 중 절반 가까이가 황해도 반도 지형을 활용해 연평도 등 우리 서북도서를 겨냥한 포격이었던 것이다.

2018년 9월 19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송영무 전 국방부 장관과 노광철 전 북한 인민무력상이 막 체결한 ‘9·19 남북군사합의’ 문서를 들여보이고 있다. 왼쪽 뒤편은 문재인 전 대통령. 뒤편 오른족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뉴시스
 
2018년 9월 19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송영무 전 국방부 장관과 노광철 전 북한 인민무력상이 막 체결한 ‘9·19 남북군사합의’ 문서를 들여보이고 있다. 왼쪽 뒤편은 문재인 전 대통령. 뒤편 오른족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뉴시스

군 안팎에선 9·19 협상이 작전 계획, 군사 보안 등 적법한 절차와 검토 과정을 거쳐 이뤄졌는지에 대한 감사가 필요하다는 말이 나왔다. 합참과 해병대에서 북측 요구에 대해 강한 반대 의견을 냈는데도 사실상 북측 요구가 거의 그대로 합의 결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전직 군 고위 관계자는 “야당은 9·19합의로 서해가 평화수역이 됐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서북도서의 방위태세가 취약해졌다”고 말했다.

북한은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 선전포고 없이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의 대연평도를 향해 포격을 가했다. 해병대는 피격 직후 K-9자주포로 대응사격을 했다. 피격된 연평도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조선일보 DB
북한은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 선전포고 없이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의 대연평도를 향해 포격을 가했다. 해병대는 피격 직후 K-9자주포로 대응사격을 했다. 피격된 연평도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조선일보 DB
해병대 연평 부대
 
연평도 포격 도발 사건 당시 해병대 연평 부대 K-9 진지에서 한 해병대원이 북한의 기습 포탄 공격 속에서 반격 태세를 갖추고 있다. 북한군 포탄으로 발생한 화염과 연기가 당시 상황을 말해준다. /해병대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