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5일(현지 시각)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에 공군 1호기편으로 도착, 환영하는 무용수들의 춤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5일(현지 시각)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에 공군 1호기편으로 도착, 환영하는 무용수들의 춤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5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도착해 5박 7일간의 순방 일정에 들어갔다. 이날 오후 공군 1호기 편으로 자카르타에 도착한 윤 대통령은 첫 일정으로 시내 한 호텔에서 동포 만찬 간담회를 열었다. 윤 대통령은 6일부터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8일 오후 인도 뉴델리로 이동해 20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윤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인도네시아 일간지 ‘콤파스’ 인터뷰에서 “날로 고조되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핵 위협은 아세안 국가들에도 직접적이며 실존적 위협이 되고 있다”며 “이런 때일수록 한국과 아세안이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긴밀히 공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북한 핵·미사일 위협 등으로 국제 규범이 무시되고 기존 합의와 약속이 파괴되고 있다”며 ‘규칙 기반 국제 질서’의 중요성을 공유하는 한·아세안 간 연대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난 7월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 외교 장관 회의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규탄하는 내용의 성명을 채택했다. 이번 아세안 정상 회의에서도 북핵 위협에 대한 윤 대통령 견해에 대해 정상들의 호응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세안+3(한·중·일)’ 관계에 대해 윤 대통령은 “이제 한·일·중 간 협력도 다시 궤도에 올려놓아야 한다”며 “한국은 3국 간 협의체 의장국이자 아세안+3 조정국으로서 한·일·중 협력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또 지난달 미국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 회의를 언급하며 “3국 협력이 어느 특정 국가를 배제하거나 특정 세력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했다. 한중 관계 관리를 염두에 둔 메시지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아세안 정상 회의와 G20 정상 회의에 참석한다. 동북아에서 한·미·일, 북·중·러의 진영 대결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아세안, 또 G20 개최국인 인도와 적극적인 관계 증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작년 ‘한·아세안 연대 구상’의 핵심 내용을 발표한 윤 대통령이 이번 아세안 정상 회의에서는 본격적인 추진 방침을 천명할 예정”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인도네시아 동포 간담회에서 “인도네시아는 한·아세안 연대 구상의 핵심 파트너”라며 양국이 경제·사회적 측면에서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심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50년 전 수교 당시 2억달러에 미치지 못했던 양국 연간 교역액은 작년에 260억달러를 기록했다”면서 “세계 4위 인구 대국이자 아세안을 대표하는 경제 대국인 인도네시아는 남다른 경제 발전 잠재력으로 전 세계 주목을 받고 있다”고 했다. 인도네시아 국내총생산(GDP)은 아세안 10국의 35%를 차지한다. 7일 열리는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는 한국 주요 대기업 총수들도 참석한다. 윤 대통령은 8일 자카르타 대통령궁에서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도 한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인도네시아 공식 방문에 맞춰 ‘한·인도네시아, 평화와 공동 번영의 핵심 파트너’라는 주제의 영상 광고를 기획해 자카르타 시내 5곳에서 지난 3일부터 상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30초 분량의 영상에는 수교 50주년을 맞이한 양국이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윤 대통령이 8일부터 방문하는 인도도 한국과 수교 50주년을 맞았다. 정부가 발표한 공식 인구는 14억2860만명이지만, 실제로는 중국에 앞선 세계 1위로 평가받고 있다. 윤 대통령은 G20 정상 회의에서 기후변화와 청정 에너지 등 인류의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의 기여 방안을 설명할 계획이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도 정상회담을 한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