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기록부는 선생님들에 의해 작성되는 우리 어린이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평가나 기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통일’이라는 친구의 생활기록부를 보면, ‘통일이는 통일문제에 관심이 많은 학생입니다’, ‘그림 그리기에 소질이 있습니다’, ‘성격이 밝고 정의감이 넘쳐 친구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습니다’ 등과 같은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겠죠?

개개인에 대한 내용이 기록된 초등학교 때의 생활기록부는 중학교로, 중학교에서 다시 고등학교로, 계속 상급 학교로 보내집니다.

물론 전학을 가면 새 학교로 옮겨지게 되고요. 왜냐하면 선생님이나 학교가 바뀔 때마다 ‘이 학생은 이렇습니다’는 기본적인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북한에도 어린이들의 학교생활을 기록하는 생활기록부가 있을 텐데요. 우리와는 어떤 점이 비슷하고 어떤 점이 다른지 북한 친구들의 생활기록부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북한 어린이들의 생활기록부는 ‘평정서’라고 불린답니다. 여기서 ‘평정’이란 ‘평가한다’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만들어지는 우리의 생활기록부와 달리 북한 어린이들의 평정서는 태어날 때부터 만들어진답니다. 아기 때부터 평가가 기록되는 서류가 만들어진다니 낯설게 느껴지죠?

학교에서 작성되어 관리되는 우리의 생활기록부와 달리 북한에서는 평정서를 기본적으로 국가기관이 관리·작성합니다. 이를 통해 국가가 주민들의 출생 이후 사망까지를 모두 관리한답니다.

때문에 북한 친구들의 평정서는 학생 때에는 해당 학교에 임시로 맡겨져 관리·작성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선생님들만이 생활기록부를 작성할 수 있는 우리와 달리, 북한에서는 선생님은 물론 소년단 혹은 청년동맹 지도원, 기관이나 공장·기업소 책임자도 평정서에 의견을 기록할 수 있답니다.

북한 어린이들의 평정서는 학교생활, 학력평가, 조직생활평가와 관련된 내용이 중심이 되어 교우들 간의 심한 싸움이나 비행은 의외로 관대하게 처리하는 편입니다.

학교생활이나 학력평가에 대한 내용이 중심인 것은 우리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겠지요.

하지만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 나가게 되면 자그마한 잘못이라도 철저하게 기록된답니다. 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는 용서가 되지만 사회생활에선 그만큼 성인다운 책임이 요구된다는 뜻이지요.

학교를 졸업하는 것으로 끝나는 우리의 생활기록부와는 달리 북한의 평정서는 계속 기록이 진행된다고 했는데요, 사회인이 된 북한 주민들의 평정서 작성은 소속 기관이나 직장에서 책임을 지게 됩니다.

어른이 되어서까지 계속 기록되다 보니 서류가 쌓여 한 개인의 평정서가 보통 두꺼운 책 한 권 분량이 될 정도라고 합니다.

평정서는 평생 동안 따라다니기 때문에 여기에 좋지 않은 기록이 많을수록 불이익이 따릅니다.

평정서에는 할아버지, 할머니 대부터의 출신성분이나 좋지 않은 행실 등도 모두 기록되어 있습니다. 나쁜 기록이 많을수록 대를 이어가면서 그만큼의 불이익이 누적되는 불합리한 성격을 띠고 있는 것입니다.

평정서에 기록되는 내용들은 학생일 때에는 진학에, 어른이 되어서는 직장 배치 및 승진의 주요 기준이 되므로 평가 내용이 궁금해 몰래 이를 알아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좋은 내용보다는 나쁜 내용이 많아 내용을 안 뒤에는 이를 기록한 사람과 심한 다툼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출처 : 어린이마당]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