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박해현기자】 프랑스 지식인과 시민들이 25일 내놓은 성명서 ‘북한에 대한 침묵을 깨자’는 북한 인권 개선 운동을 유럽에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서유럽 각국 정부와 비정부 기구들은 냉전 붕괴 이후 보스니아 내전, 코소보 사태 그리고 최근의 체첸 사태 등을 통해 항상 인권 문제에 연대의식을 보여주었고, 특히 프랑스 언론과 인권 운동단체들이 지난해부터 북한의 강제 수용소와 기아 실태에 주목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또한 유럽인들이 가장 뼈아프게 기억하는 나치의 유태인 학살과 연관시켜 북한 정권의 인권 탄압을 공개적으로 반인간성 범죄로 규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모임은 프랑스 하원에서 북한 인권 개선에 적극적인 앙리 플라뇰 의원(프랑스 민주연합)이 의회 회의실로 참석자들을 초청하고, 국제인권협회 프랑스 지부가 주관하는 형식으로 마련됐다.

지난해 유럽 지식인들의 북한 인권 개선 서명을 주도했던 피에르 리굴로 편집장이 초대장을 발송, “북한 주민들의 비극적 상황과 그들이 겪고 있는 기아(기아)의 정치적 근원에 대한 국내외적 여론을 움직이려고 했던 르 피가로 99년 3월10일자의 서명 운동 이후 비록 그 어둠은 아직도 존재하지만, 북한 비극의 강도를 이해시키는 데 공헌한 수많은 노력들이 있었다”면서 “이젠 우리 행동을 중간 평가하고 어떻게 앞으로 더 나아갈 것인지를 살펴볼 때가 됐다”고 모임의 취지를 밝혔다.

이날 모임 참석자들은 프랑스 다큐멘터리 취재팀이 제작한 탈북자 실태 비디오(지난해 11월초 프랑스 TV 아르테 방영)를 관람한 뒤 북한 인권 개선책을 놓고 토론을 벌였다.

이 다큐멘터리를 취재-제작한 미셸 토브만은“북한에 식량을 지원할 때 인권과 교환할 것을 강하게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플라뇰 의원은 “프랑스 의원으로서 나는 북한 정권의 반인간성 범죄를 규탄하는 여론이 국제 사회에서 일어나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중국 정부와의 관계 때문에 탈북 주민들의 난민 지위 획득 문제에 개입하기 힘든 미국과 일본 정부를 대신해서 유럽과 프랑스가 부여받은 소명(소명)이 있다”고 역설했다. /hhpark@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