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발발을 보도한 1950년 6월 26일자 조선일보. 출범한 지 채 2년도 지나지 않은 신생 대한민국과 그 국민들에게 너무도 가혹한 참화(慘禍)가 닥쳐왔다.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일까지 3년 동안 계속된 6·25전쟁은, 빈약한 사회경제적 기반마저 송두리째 무너뜨린 대재앙이었다.

한국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남한에서만 85만명에 이르는 군인과 민간인이 사망하거나 실종됐다. 8만명 이상의 남한 주민들이 북으로 납치됐다. 근대국가 체제가 형성된 이래 지난 500년 동안 일어났던 모든 전쟁 중에서 인명 피해 규모가 7번째에 해당하는 전쟁이었다는 통계도 있다.

전쟁의 발발 원인에 대해 오랫동안 '북침설'이나 수정설에 해당하는 '남침 유도설'이 학계 일부를 풍미했다. 그러나 1991년 소련의 붕괴 이후 공개된 기밀문서들로 인해 이 전쟁이 '북한의 김일성(金日成)이 소련의 승인과 지원을 바탕으로 시작한 침략 전쟁'이었음이 명백히 드러났다.


◇전쟁의 폐허 위에 주저앉은 어머니는 오열하고 있고, 아들은 그런 엄마를 멍하니 바라보고 있다. 6·25 당시 미국의 종군 사진가였던 조지스 디미트리 보리아가 촬영한 것이다. /미국 맥아더기념관 제공

1950년 1월 냉전 상황에서 남침이 유리하다고 판단한 스탈린이 전쟁을 승인했고, 그해 5월 마오쩌둥(毛澤東)은 '미국이 개입한다면 중국도 전쟁에 참여하겠다'고 약속했다. 한반도가 이념으로 갈라진 세계의 축소판 전장(戰場)이 됐던 것이다.

전쟁은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극단적인 반공주의와 적대의식을 낳았지만, 한국인의 지연(地緣)을 해체하고 전통적인 신분의식에서 벗어나는 계기도 됐다. 미국과 동맹국이 됨으로써 자유시장 경제체제인 '해양 문명권'에 편입되는 대전환도 이뤄졌다./유석재 기자 karma@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