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특수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투자재원 조달이 핵심적 문제이다. 하지만 대우증권 박용완 애널리스트는 “재정적자와 대북사업에 대한 국민적 정서를 감안하면 정부 지원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결국 북한은 남북 경협재원을 월드뱅크나 ADB 등 국제금융기구로부터 저리의 지원자금을 끌어내는 수밖에 없지만, 그 실현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는 분석이다. 증권가에서는 ‘북한이 일본으로부터 전쟁 보상금을 받아낼 것’이라는 설도 나돌고 있으나, 이 또한 추측에 불과하다.

과거의 사례를 보더라도 남북 관계가 개선됐다는 뉴스가 나왔다고 해서 반드시 주가가 오른 것은 아니었다. 특히 약세장에서는 일시적 상승 요인에 그쳤고, 시장에 영향을 전혀 못주는 경우도 있었다.

증권거래소가 90년대 이후 지금까지 10차례에 걸친 남북관계 개선 발표가 나온 10일 후 주가를 분석한 결과, 상승 7회에 하락 3회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심지어 발표 당일 주가가 내린 경우도 6회에 달했다.

가장 최근 남북 정상회담이 논의됐던 지난 94년 6월 28일의 경우도 김영삼 전(전)대통령과 김일성 당시 북한 주석의 정상회담 합의 발표가 나온 후 당일 주가가 오히려 1.11% 떨어진 바 있다. 신영증권 장득수 투자분석부장은“심리적인 동인(동인)으로 상승한 주가는 경제적인 뒷받침이 없을 경우 금새 다시 빠지고 만다”고 말했다.

이번 남북정상회담 발표가 실제로 주가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 외국인 투자가 가시적으로 늘어나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남북경협 수혜업종 분석=SOC(사회간접자본) 투자와 관련된 건설업, 일차적인 경협 가능성이 높은 소비재산업, 또 북한이 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에너지업종이 우선 남북경협의 수혜업종으로 부상하고 있다.

굿모닝증권 송태우 애널리스트는 “대형 건설사와 한국전력·한국통신 등 SOC 사업자의 수혜가 가장 클 것”이라며, “현대건설·현대상선·금강개발 등 대북사업과 밀접한 현대 계열사와 삼성전자·LG전자 등 대형 가전업체도 유망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마이다스에셋 김기환 상무는 “건설이나 무역은 인터넷시대로의 변화 과정에서 가장 비전이 없는 종목으로 꼽혀 왔다”며 “이번에 주가가 오르더라도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