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총선전의 이슈에서는 ‘2000년’이 보이지 않는다.

민주당은 당명에 아예 ‘새천년’을 넣었고, 한나라당은 ‘새 밀레니엄 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저마다 새시대를 선도할 것처럼 부산을 떨었지만, 각당이 제기하는 이슈는 ‘돌고 도는 물레방아’나 마찬가지다.

민주당과 한나라당간의 안정론·견제론 대결은 15대 총선 때 신한국당과 국민회의의 단골 메뉴였다. 당시 견제론을 폈던 김대중(김대중) 대통령이 이제는 안정론을, 당시 안정론을 주장했던 이회창(이회창) 총재가 견제론으로 정반대의 입장에 선 것뿐이다. 15대 때 제1야당인 국민회의와 현재의 한나라당이 집권당에 대해 중간평가론을 들고 나온 것도 똑같다.

야권 분열과 이에 따른 2중대론 공방도 마찬가지다. 당시는 이기택(이기택)씨의 민주당과 국민회의, 갓 탄생한 자민련이 서로 2중대라고 삿대질을 한 반면, 지금은 한나라당과 민국당, 자민련이 2중대론 공방에 얽혀있다.

‘총선후 정계개편’ 주장도 다시 틀어지는 곡목이다. 15대 때는 이회창, 김윤환(김윤환), 박찬종(박찬종)씨 등 신한국당 인사들이 주로 거론한 반면, 이번에는 자민련 이한동(이한동) 총재와 김윤환 최고위원 등 민국당 인사들이 흘리고 있다.

하나도 변하지 않은 소재는 지역감정 부추기기다. 15대 때는 ‘원조(원조) 보수론’을 자처한 자민련이 ‘충청도 핫바지론’을 기폭제로 노골적으로 나선 반면, 현재는 민국당이 ‘영도다리론’ 등을 주장하며 영남을 휘젓고 있다. 다른 당들도 예외없이 지역감정에 음양으로 호소하는 전략을 택하고 있는 현상 역시 변함이 없다.

각당이 ‘북한 관련 돌발변수’를 경계하고 있는 상황도 예나 지금이나 같다.

/주용중기자 midway@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