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남북 장관급회담이 ‘교류 확대’로 가닥을 잡았다. 6·15 선언 후 추진 중인 각 분야의 교류를 넓혀가기로 한 것이다. 특히 학술·문화교류 등도 적극 추진키로 해, 민간분야의 접촉도 늘어날 전망이다.

우선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원칙적인 합의가 눈에 띈다. 23일 끝난 제2차 적십자회담에서는 11·12월 추가 상봉, 각 100명씩의 두 차례 생사확인, 11월 300명의 서신교환 등이 합의됐지만, 남측은 이 합의가 기대에 못미쳤다고 지적, 북측에 보다 본격적인 조치를 촉구했다. 비록 북측이 규모 명시에 동의하지는 않았지만 ‘적극 추진’에 호응한 것은 일단 12월 중순 예정인 제3차 적십자회담의 전망을 밝게 해주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연말쯤부터는 시범적 수준의 생사확인, 서신교환을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9월 적십자회담에서 설치·운영을 확정키로 합의하고도 뒷전으로 밀려났던 면회소 설치도 북측이 이번 회담의 합의정신을 지킬 경우 조기 타결이 점쳐지고 있다.

경제 분야에선 경협 실무기구를 구성하고, 25~26일 1차 경협실무접촉에 거론되지 못했던 청산결제, 분쟁조정절차 합의서 등을 빠른 시일 안에 논의키로 함으로써 경제교류 활성화를 위해 진일보한 합의를 이끌어냈다. 내달 2차 경협실무접촉에서 투자보장, 이중과세방지 협정을 매듭지으면 경제교류가 제도화의 길로 접어들 수 있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교수·대학생·문화계 인사들로 구성된 방문단 시범교환, 서울·평양(경·평) 축구대회 부활 등은 민간분야 교류도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지금까지는 주로 북한의 문화·예술단이 남한을 방문하는, ‘일방통행식’ 교류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번 합의로 북한이 남한사회·문화계 인사를 얼마나 받아들일지 주목된다. 이 밖에 북한 김영남(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연내 방한은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그의 방문을 공동보도문에서 재확인함으로써 남북이 내년 봄 김정일(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 협의에 들어간 것이라는 해석을 낳고 있다.

/최병묵기자 bmchoi@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