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성공적인 통일을 만들어가는 사람들'이 18일(현지시간) 유엔 인권이사회가 열리고 있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강제북송 및 장애인 인권에 초점을 두고 북한 인권 문제를 조명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연합뉴스
사단법인 '성공적인 통일을 만들어가는 사람들'이 18일(현지시간) 유엔 인권이사회가 열리고 있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강제북송 및 장애인 인권에 초점을 두고 북한 인권 문제를 조명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연합뉴스

“어린 시절부터 주변에서 휠체어를 본 적이 없다. 왕복 1시간 걸리는 길을 어머니에 업힌 채 초등학교에 다녔다.”

지체장애인 탈북자 이미영씨가 유엔 인권이사회가 열리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북한 장애인의 이 같은 실상을 전했다.

18일(현지 시각) 제네바 사무소 바로 옆 건물에선 사단법인 ‘성공적인 통일을 만들어가는 사람들’ 주최로 북한 인권 행사가 열렸다. 유엔 인권이사회의 북한 인권 부대행사와 병행해 열린 이날 행사에는 엘리자베스 살몬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과 줄리 터너 미 국무부 북한 인권 특사, 이신화 북한 인권 국제협력 대사 등이 참석했다.

이씨는 이 자리에서 북한 내 장애인이 겪는 현실을 증언했다. 이씨는 1970년대 초 북한 혜산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생후 9개월 만에 소아마비에 걸려 두 다리를 못 쓰게 됐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그는 학업 능력은 우수했지만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대학에는 진학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씨는 “학급에서 제일 공부 잘하는 학생이었지만 북한에선 장애인이 대학에 갈 수 없다고 해 고등중학교만 졸업하고 진학을 못 했다”고 했다. 이어 “북한에서 장애인이면 노동당원이 될 수 없다”며 “저와 같은 중증장애인은 일도 전혀 하지 못하기 때문에 졸업 후 집에 갇혀 지낸다”고 했다.

이씨는 “북한에서 장애에 대한 시각은 가혹하고 비인간적”이라며 “대부분 장애인을 ‘불구’라고 부르고 더 모욕적인 말로 비하하기도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나라가 휠체어를 주는 건 군 복무 중 다쳐 1·2급 장애를 가진 경우로만 알고 있다”고 했다.

이씨는 “장애를 가지면 사회 참여가 거의 불가능하고 손가락질을 당하기 때문에 밖으로 나가지 못한다”며 “저는 병원이 아닌 곳에서 장애인을 본 적이 없고 장애인의 존재를 숨기는 사회 풍조가 있다”고 했다.

이어 “한 번도 국가에서 장애인 혜택을 받은 적이 없고 맹인·농아학교가 있다고는 들었지만, 상류층 자제만 다닐 수 있다”며 “방송에 시각장애인이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이 나와서 우수하면 저렇게 할 수 있나보다 생각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고 했다.

이씨는 결국 학업을 중단하고 독학으로 미싱을 배워 재봉 일을 하며 생계를 꾸리다 지금의 남편과 만나 결혼도 했다. 그러던 중 집에 도둑이 들었고, 남편과 함께 돈을 되찾으려 다투는 과정에서 폭행까지 당해 어깨뼈가 부러졌다고 한다.

그는 돈을 빼앗긴데다 부상까지 당해 건강이 악화되자 북한을 떠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이씨는 남편·딸과 함께 압록강을 건넌 뒤 중국·베트남·라오스·태국을 거쳐 2018년 7월 한국으로 들어왔다.

이씨는 “한국에서 장애인을 위한 공공단체에 취업하고 건강한 사람들과 동등한 생활을 하며 새 삶을 즐기고 있다”며 “북한의 장애인은 그 아무도 모르게 집안에서만 생활하고 있다는 현실을 국제사회가 알아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성공적인 통일을 만들어가는 사람들’은 북한 인권 문제를 국제적으로 알리는 활동을 해온 비영리 단체로 유엔 경제사회이사회로부터 최초로 특별협의 기구 지위를 받은 북한 인권 전문 비정부기구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