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신의주에서 출발한 화물열차가 조중우의교를 건너 중국 단둥으로 들어가는 모습./뉴시스
북한 신의주에서 출발한 화물열차가 조중우의교를 건너 중국 단둥으로 들어가는 모습./뉴시스

중국 동북 지역의 지린성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 수천 명이 지난 11일부터 북한 당국의 임금 체불에 항의하며 여러 공장에서 연쇄 파업과 폭동을 일으켰다는 주장이 나왔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19일 북한 외교관을 지내다 귀순한 고영환 통일부 장관 특별보좌역이 북한 소식통 등의 이야기를 토대로 작성한 북한 노동자 파업·폭동 관련 보고서를 입수했다면서 “북한 해외 파견 노동자들의 대규모 시위와 폭동이 확인된 것은 최초”라고 보도했다.

산케이가 입수한 보고서에 따르면 노동자를 중국에 파견한 북한 국방성 산하 회사들은 코로나로 인해 북·중 국경이 막힌 2020년 이후 중국 측이 지급한 임금 중 북한 노동자 몫에 해당하는 금액까지 북한에 ‘전쟁 준비 자금’ 명목으로 보냈다. 그러면서 노동자들에게는 “코로나가 진정돼 북한으로 귀국할 때 받아야 할 돈을 한꺼번에 주겠다”고 했다고 한다. 그러나 북·중 교류가 재개된 지난해, 밀린 임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란 걸 알게 된 북한 노동자들은 지난 11일부터 조업을 거부하고 파업에 나섰다는 것이다. 파업은 지린성 내 복수의 의류 제조·수산물 가공 하청업체 공장들로 확대됐고, 공장을 점거해 북한 간부를 인질로 삼거나 기계를 파괴하는 폭동도 일어났다고 한다.

보고서는 김정은 정권이 이 사태를 ‘특대형 사건’으로 지정했다고 전했다. 주(駐)선양 북한 총영사와 국가보위성 요원을 중국에 급파해 북한 노동자들의 임금을 즉시 지불하는 조건으로 사태를 수습했고, 이에 따라 지난 15일쯤 시위와 폭동이 다소 진정됐다고 한다. 산케이는 중국 주재 북한 회사들은 노동자들에게 지급해야 할 돈이 고갈됐고, 회사 간부와 외교관들이 자금 변통을 강요당하는 상황이어서 시위나 폭동이 다시 일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산케이는 “북한은 이번 사건과 관련된 소문이 확산하지 않도록 정보를 통제하고 있지만, 항의가 확대된다면 김정은 정권 외화 수입은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산케이 보도 관련) 상황을 알지 못한다”고 했다.

북한 노동자 해외 파견은 유엔 안보리 위반이지만, 중국에만 8만~10만 노동자가 근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판 노예’인 북한 노동자는 열악한 노동 환경과 임금 체불에 시달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 파견된 노동자들은 임금의 60% 이상을 북한 측 간부에게 상납하기 때문에 실제 손에 쥐는 돈은 한 달에 200~300달러(약 27만~40만원) 수준이라고 산케이는 보고서를 인용해 전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