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한국과 미국, 일본이 지난 15~17일 제주 공해상에서 진행한 연합해상훈련에 반발해 수중 핵무기 체계 ‘해일’을 시험했다고 19일 주장했다.

북한이 '수중 핵드론'으로 분류되는 수중전략무기체계 '해일'을 시험 가동했다고 지난해 노동신문이 보도한 사진. 신문은 '해일-2형'으로 명명된 '핵 무인수중공격정'이 동해상에서 잠항해 총 1000km를 이동한 뒤 목표 지점에서 수중기폭됐다고 주장했다. /노동신문 뉴스1
북한이 '수중 핵드론'으로 분류되는 수중전략무기체계 '해일'을 시험 가동했다고 지난해 노동신문이 보도한 사진. 신문은 '해일-2형'으로 명명된 '핵 무인수중공격정'이 동해상에서 잠항해 총 1000km를 이동한 뒤 목표 지점에서 수중기폭됐다고 주장했다. /노동신문 뉴스1

북한 국방성 대변인은 담화문 ‘무모한 군사적 대결 광기를 절대로 묵인하지 않을 것이다’에서 “국방과학원 수중무기체계연구소가 개발 중인 수중 핵무기 체계 ‘해일-5-23′의 중요 시험을 조선 동해 수역에서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9일 전했다. 북한은 한·미·일 해상훈련에 대해서는 “국가의 안전을 심중히 위협하는 행위”라고 했다.

북한이 수중핵어뢰라고 주장하는 ‘해일’은 북한이 개발하고 있는 무인무기(드론)체계다. 지난해 3월 처음 ‘해일-1′을 개발했다고 밝혔고 지난해 4월에는 ‘해일-2′를 시험했다고 발표했다. 북한이 이날 중요 시험을 진행했다고 주장한 수중핵무기체계의 이름이 ‘해일-5-23′이라는 점을 미뤄볼 때, 지난 9개월 동안 개량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

북측은 앞서 ‘해일’ 무기가 최대 71시간 동안 잠항하며 부산·진해 등 우리 후방 군사기지를 타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핵폭발을 일으키며 ‘방사능 해일’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해일-1·2 당시와 달리 사진·항로·잠항시간은 공개하지 않아 성공 여부는 불투명하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핵탄두를 탑재하지 않고 어뢰 성능를 확인하기 위한 발사 시험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앞서 한미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는 지난 15∼17일 해상훈련을 하면서 최근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수중 위협 등에 대한 한미일의 억제·대응능력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 훈련에는 우리 해군 이지스구축함 세종대왕함 등 2척, 미국 해군 제1항모강습단 소속의 항공모함 칼빈슨함 등 5척, 일본 해상자위대 이지스구축함 콩고함 등 2척 등 총 9척이 참여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