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북 EMP 위협에 따른 서울시 도시기능 유지 방안 포럼에서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이 포럼 소개를 하고 있다./뉴시스
 
지난 12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북 EMP 위협에 따른 서울시 도시기능 유지 방안 포럼에서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이 포럼 소개를 하고 있다./뉴시스

서울시가 북한의 ‘EMP(고출력 전자기파)’ 공격에 대비해 전기·통신·데이터망 등 중요 망(網) 시설을 관리·보호하는 대책을 만든다. 핵심 시설 36곳은 서버에 알루미늄 합금 덮개를 씌우고 필터를 장착하는 등 방호 시설을 우선 설치하기로 했다. 지방자치단체가 북한의 EMP 공격을 상정해 대비하는 것은 처음이다.

EMP탄은 강력한 전자기파로 전기·통신·데이터망 등 전자 장비 내부의 회로를 태워 도시 기능을 순식간에 마비시키는 무기다. 북한 노동신문은 2017년 “전략적 목적에 따라 고공에서 폭발시켜 광대한 지역에 대한 초강력 EMP 공격까지 가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는 이러한 내용의 ‘주요 기반 시설 대상 유형별 EMP 대응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방호 시설 구축에 나선다.

EMP 공격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중요 시설을 지하에 건설해야 하지만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1차적으로 덮개를 씌우고 필터와 접지 장치(전기를 흘려보내는 장치)를 장착하는 방법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일부 시설은 컨테이너 박스에 넣어 보호하는 계획도 세웠다. 서울 지하철의 자투리 지하 공간을 활용하고 민간이나 공공기관이 지하에 전기·통신·데이터 장비를 넣을 경우 용적률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 등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지난 3월부터 서울시 내 핵심 전기·통신·데이터 시설 13곳에 대해 사전 조사를 벌였는데 모두 EMP 공격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서울시에는 전쟁 등에 대비해 원전 4기 규모의 비상 발전기가 설치돼 있지만 모두 EMP 공격에 대한 대비가 돼 있지 않았다”고 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EMP탄은 최대 반경 수백㎞의 전기·통신·데이터 등 기능을 순식간에 마비시킬 수 있다. 서울 상공에서 EMP탄이 터질 경우 동쪽으로는 강원 동해, 남쪽으로는 전북 군산 정도까지 전기·통신·데이터망이 마비된다는 얘기다. 전기가 끊기면 수돗물 공급도 중단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피해 복구에는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극심한 사회 혼란이 예상된다”며 “도시 주요 기능이 이미 전자화돼 있어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