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현지 시각) 열린 유엔 안보리에 이해 당사국으로 참석한 황준국 주유엔 한국 대사가 발언하고 있다./유엔 웹티비
 
19일(현지 시각) 열린 유엔 안보리에 이해 당사국으로 참석한 황준국 주유엔 한국 대사가 발언하고 있다. /유엔 웹티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19일(현지 시각)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는 회의를 소집했지만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결의안 도출에 실패했다.

이날 유엔 안보리 회의는 상임이사국인 미국 요청으로 열렸다. 북한이 17일, 18일 단거리탄도미사일(SRBM)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잇따라 발사한 데 대응하는 자리였다.

그러나 겅솽 유엔 주재 중국 대표부 부대사는 “중국은 특정 국가가 동맹국에 확장 억제(핵우산)를 제공하고 전략무기를 한반도에 파견하는 움직임에도 함께 주목하고 있다”며 북한 ICBM 발사 책임을 미국에 돌렸다. 안나 에브스티그니바 러시아 차석대사도 “미국이 주도한 ‘(을지) 프리덤실드’와 ‘쌍용 훈련’은 무력시위에 지나지 않고 (한반도) 정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했다. 김성 주유엔 북한대사는 “미국과 한국이 계속 군사적 위협을 이어나가고 우리의 안보 이익을 침해한다면 후과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로버트 우드 주유엔 미국 대표부 차석대사는 “북한의 이번 ICBM과 SRBM 발사가 어떤 식으로든 정당화되거나 (한미) 회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어처구니없는 일”이라고 했다. 이날 중국과 러시아 반대로 안보리 차원의 결의안 채택은 무산됐다.

황준국 주유엔 대사는 “계속되는 북한의 안보리 결의 위반 도발에도 불구하고 두 상임이사국이 추가 제재는커녕 대북 규탄마저 꺼리는 점을 알고 북한은 돌이킬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고 했다.

미국, 일본, 한국 등 10국은 안보리 시작 전 발표한 공동 선언문에서 “북한의 지속적인 핵무기 추구는 물론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과 납치를 포함한 노골적인 인권 침해 및 남용을 더는 외면할 수 없다”고 규탄했다. 주요 7국(G7) 외교장관들도 성명에서 “북한이 불법 핵과 탄도미사일 능력을 향상하고 불안정한 활동을 고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