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지상작전사령부 드론봇 전투단 장병들이 부대 인근 활주로에서 드론과 운용 기술을 익히고 있다./육군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드론봇 전투단 장병들이 부대 인근 활주로에서 드론과 운용 기술을 익히고 있다./육군

북한의 무인기 위협이 커짐에 따라 군(軍)은 드론작전사령부를 설치하고 기존의 방어 위주 작전에서 벗어나 공격 작전에도 주안점을 둔다는 방침이다. 또 북한 무인기를 직접 타격해 격추하는 헬기 장착용 드론건(Drone Gun)을 도입하는 등 적극적인 대비에 나서고 있다. 방위사업청은 다음 달 2일 휴대용 드론건 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지난해 12월 북한 무인기 침투 당시 헬기 기관총으로 격추에 실패하자 드론 전용 공격 무기인 드론건의 필요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국방부는 지난 27일 ‘드론작전사령부령’을 제정해 공포했다. 국방부 장관 소속으로 설치돼 장성급 장교가 사령관을 맡는다. 드론사령부 임무엔 지난 4월 입법예고 때 담겼던 ‘전략적·작전적 수준의 감시, 정찰, 타격, 심리전, 전자기전’에 ‘적 무인기 대응을 위한 탐지·추적·타격’이 이번에 추가됐다. 정부 관계자는 “공세적으로 대응하라는 윤석열 대통령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했다. 군 당국은 북한이 무인기 도발을 재차 감행하면 10배의 무인기를 평양으로 보내 응징한다는 방침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말 합동드론부대 조기 창설, 스텔스 무인기 등 소형 드론 연내 생산 등을 지시했었다. 이에 따라 군은 태양광 전지 장거리 정찰 드론을 이미 확보했고, 북한 전 지역을 감시하는 소형 무인기 100대도 이달 중 갖춘다는 계획이다. 스텔스 무인기 등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 군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드론 운용 양상을 분석하고, 최근엔 튀르키예 무인기 여단을 직접 방문해 무인기 운용 시스템 등을 살펴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군의 드론 작전 대비가 사령부 창설이나 첨단 기술 확보 등 외적인 면에 치우쳐 있다는 우려도 있다. 북한의 드론 개발은 기술적 완성도보다는 실전에서 얼마나 우리에게 타격을 줄 수 있느냐에 주안점을 두고 진행 중이라는 것이다.

드론 실효성에 대한 육군·공군 간 의견 차이와 영역 다툼도 극복 과제로 지적된다. 육·해·공군을 가리지 않고 소규모 전술 부대에서 모두 드론을 운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 대비를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