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민들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에 대한 호감도가 8%에 그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2일 나왔다. 박근혜 정부 시기인 2014년에는 59%를 기록했으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후 한중관계가 악화된 영향으로 보인다. 주변국 정상 중 비호감도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88%로 가장 높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1일 베이징에서 속개된 공산당 제19기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19기 6중 전회)에서 연설하는 모습이 베이징 시내의 대형 옥외 전광판에 비치고 있다. 6중전회는 회의 마지막날인 이날 '당의 100년 분투의 중대 성취와 역사 경험에 관한 중공 중앙의 결의'(역사 결의)를 심의·의결했다.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1일 베이징에서 속개된 공산당 제19기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19기 6중 전회)에서 연설하는 모습이 베이징 시내의 대형 옥외 전광판에 비치고 있다. 6중전회는 회의 마지막날인 이날 '당의 100년 분투의 중대 성취와 역사 경험에 관한 중공 중앙의 결의'(역사 결의)를 심의·의결했다. /연합뉴스

한국갤럽이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이날 발표한 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에서 미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북한 등 주변국 정상 호감도를 조사한 결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49%로 호감도 1위를 기록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로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시 주석(8%), 김정은(7%), 지난달 취임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6%) 순이었다.

비호감도는 김정은이 8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시 주석(85%), 기시다 총리(80%), 푸틴 대통령(65%), 바이든 대통령(35%) 순으로 나타났다.

시 주석은 박근혜 정부 초기에는 50% 대의 호감도를 기록했고, 방한 직후인 2014년 7월 조사에선 59%까지 높아졌다. 그러나 2017년에는 20%대, 2018과 2019년에는 10%대로 낮아지더니, 이번 조사에선 8%로 추락했다. 한국갤럽은 “2017년 사드 관련 경제적 보복 공세로 호감도 급락했고, 이후로도 하락세”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내외가 2018년 9월 20일 오전 백두산 정상인 장군봉에 올라 손을 맞잡고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내외가 2018년 9월 20일 오전 백두산 정상인 장군봉에 올라 손을 맞잡고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은 호감도는 문재인 대통령과 2차 남북 정상회담을 한 직후 조사한 2018년 5월 조사에선 31%까지 올랐다. 당시 비호감도는 55%였다. 한국갤럽은 김정은 호감도에 대해 “남북정상회담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고 설명했다. 김정은 호감도는 50대(11%)와 40대(9%)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20대와 30대 호감도는 3%에 그쳤다.

바이든 대통령의 호감도(49%)는 2013년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호감도(71%)보다는 낮지만, 2017~2019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호감도(9~32%)보다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한반도 평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주변국’을 묻는 질문에 71%가 미국이라고 답했다. 중국은 17%, 일본은 3%, 러시아는 2%였다.

한국갤럽 제공
 
한국갤럽 제공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