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나라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자연 감소(출산<사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북한 인구도 2038년부터 감소할 전망이다.

북한 주민의 기대 수명이 올라오면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출산율도 개발도상국치고는 낮은 수준에 머물면서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0년 북한의 주요통계지표'를 28일 발표했다.

북한 평양에서 노인 남성들이 한 건물 앞에서 담배를 피우며 쉬고 있다/AP 연합뉴스
 
북한 평양에서 노인 남성들이 한 건물 앞에서 담배를 피우며 쉬고 있다/AP 연합뉴스

◇북한도 저출산·고령화 추세, 2038년부터 인구 감소 전망

지난해 북한 인구는 2525만명으로 남한(5271만명) 대비 절반 수준이다. 북한 기대수명은 남성 66.7세, 여성 73.5세다. 남한에 비해선 각각 13.3세, 12.4세 짧다. 다만 기대 수명은 빠르게 올라가는 추세다. 지난 2009년 남성 64.6세, 여성 71.5세에서 각각 2세 가량 높아졌다.

북한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9.9%다. 10년 전(8.8%) 대비 1%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남한보다는 덜 하지만 인구 구조가 늙어가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보통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를 넘으면 ‘고령화 사회’로 분류한다. 유엔(UN)이 추계한 북한의 2015~2020년 합계출산율은 1.91명이다. 10년 전(2005~2010년) 대비 0.04명 떨어졌다.

북한의 출산율은 다른 개발도상국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라는 평가다. 최준욱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지난 2017년 ‘통일의 인구·보건·복지 통합 쟁점과 과제’ 보고서에서 “보통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낮을수록 합계 출산율이 높은데, 북한은 추세에서 벗어난 특이치”라고 했다.

그 원인으로는 ▲남성의 장기간 군 복무 때문에 초혼(初婚) 연령이 늦고 ▲여성이 장마당·밀무역 등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가 높은 점 등을 지적했다. 북한 체제의 특수성 때문에 소득 수준에 비해 출산율이 일찍 낮아졌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북한 인구는 오는 2038년부터는 감소할 전망이다. 통일이 되면 북한의 젊은 인구가 우리의 저출산 문제를 풀어줄 수 있다는 기대가 일각에서 나오지만, 실제로는 그러기 어렵다는 뜻이다. 통계청은 남·북한 총인구가 오는 2033년부터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통계청
 
/통계청

◇북한 경제 3년 만에 플러스 성장...1인당 소득, 남한 27분의 1

2019년 북한의 실질 GDP는 전년 대비 0.4% 증가했다.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3.5%, -4.1%로 역(逆)성장했는데 3년 만에 추세를 뒤집는 데 성공한 것이다. 통계청은 건설업(-4.4→2.9%) 및 농림어업(-1.8→1.4%) 증가와, 광공업(-12.3→-0.9%)의 감소폭이 줄어들며 소폭이나마 플러스 성장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2019년 기준 북한의 명목 GDP는 35조3000억원으로, 남한(1919조원) 54분의 1 수준이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명목)은 약 141만원으로 남한(3744만원) 27분의 1 수준이다. 남북 간의 소득 격차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10년 전인 지난 2009년에는 20.5배 정도였다.

지난해 북한 무역총액은 32억4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4.1% 늘었다. 지난 2018년에는 유엔(UN) 대북제재 영향으로 교역액이 전년 대비 48.8% 급감한 바 있다. 북한의 최대 교역국은 중국으로, 전체 무역의 95.4%를 차지했다. 다음은 러시아(1.5%), 베트남(0.9$) 등이다.

최대 수입품목은 광물성연료·광물유(전체 11.7%) 등이었고, 최대 수출품목은 시계 및 부분품(17.8%) 등이었다. 통계청은 “북한산 무연탄, 철, 철광석 등의 수입을 금지하는 유엔 제재 결의안에 따라, 제재 영향이 없는 품목 위주로 수출 비중이 늘었다”고 했다.

/통계청
 
/통계청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