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전 '판문점 선언' 후 문 열어
 

'4·27 판문점 선언'에 따라 2018년 9월 문을 연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문재인 정부가 대표적인 대북(對北) 치적으로 내세워 왔다. 남북 당국자가 한 건물에 머물면서 상시적 연락 채널 역할을 하자는 취지였다.
 
2018년 9월 개성공단에서 열린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남북 참석자들.
2018년 9월 개성공단에서 열린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남북 참석자들. /사진공동취재단

하지만 지난해 2월 '하노이 노딜' 이후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소장 회의는 한 번도 열리지 않았다. 국책연구소 관계자는 "비싼 대가를 치르고 개소한 연락사무소가 정작 제 기능은 못 했다"고 했다. 더구나 지난 1월 30일 코로나 확산을 계기로 북한이 비상방역체제로 전환하면서 잠정 폐쇄됐다. 이에 따라 개성에 체류하던 우리 측 인원 58명(당국자 17명, 지원 인력 41명)은 전원 귀환했다. 남북은 매일 오전과 오후 2차례 전화 통화를 통해 연락 업무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과 통일전선부가 연락사무소 폐쇄 방침을 밝힌 데 이어 북측이 8일 한때 우리 측 전화 통화를 거부하면서 "사실상 폐쇄되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다.

연락사무소는 개성공단 내 남북교류협력협의사무소가 있었던 건물을 개·보수했다. 신축(新築)이 아닌데도 100억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됐다. 청사와 숙소 등 개·보수에 79억5200여만원, 정·배수장 등 지원 시설을 긴급 보수하는 데 16억6000여만원, 감리비에 1억6800여만원이 들었다. 당시 통일부는 초기 비용(8600만원) 일부만 승인받은 뒤 실제로는 100배가 넘는 97억여원을 사용해 '대북 제재 위반'이라는 논란이 제기됐다.

정부는 2018년 8월부터 연락사무소에 전기를 제공하고, 개성 지역 생활용수 등 공급을 위한 정·배수장도 가동해 왔다. 지난 1월 잠정 폐쇄 후에도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공급 중단 여부에 대해 정부 당국자는 "현 단계에서 언급할 사항은 아니다"라고 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09/2020060900200.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