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27년까진 요격 수단 없어
 

군 당국이 초대형 방사포 등 증대되는 북한의 방사포(다연장로켓) 위협에 대응해 추진 중인 '한국형 아이언돔' 개발 사업이 일러야 오는 2026~27년쯤에야 완료될 것으로 31일 알려졌다. 당초 예상됐던 2020년대 초반보다 3~4년 이상 지연된다는 것이다.

현재로선 한국군은 물론 주한 미군도 북한 신형 방사포에 맞설 마땅한 요격 수단이 없다. 한·미 양국 군 주요 기지에 배치된 패트리엇 PAC-3 및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등 한·미 미사일 요격망이 북 방사포에 의해 앞으로 상당 기간 무력화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한국형 아이언돔 개발을 맡은 국방과학연구소 등 군 당국은 국산 요격미사일('천궁-2') 개발 경험을 살려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정부 소식통은 "본격 개발하려면 여러 절차를 거쳐야 해 일러도 내년은 돼야 개발에 착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국형 아이언돔'은 원래 수도권을 노리는 북 장사정포 위협에 맞서 개발하기로 한 무기 체계다. 문제는 지난해부터 이른바 '신종 무기 4종 세트'로 불리는 북한의 새로운 방사포·미사일 위협이 등장했다는 점이다.

이 신무기들은 한·미 미사일 방어망으로 요격이 어렵거나 사실상 불가능하다. 북한은 신형 방사포로 한·미 군 기지의 요격미사일들을 무력화한 뒤 탄도미사일로 이 기지 등을 공격하거나, 미사일·방사포 섞어 쏘기로 한·미 미사일 요격망을 무력화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01/2020060100098.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