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 이후 북한의 식량난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남한 역시 식량 자급률이 낮아 통일에 대비한 식량수급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운근 선임연구위원은 24일 강원대에서 '21세기 동북아 지역의 식량수급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열린 한.중.일 국제심포지엄에서 국.내외 환경의 급변으로 갑작스런 통일환경이 조성된다면 통일초기 일정기간 북한의 기본식량 조달과 분배를 위한 국가계획 차원의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최근 북한의 식량수급 현황과 남한의 식량 자급률, 재고율, 남북한 경지면적 변화 등을 토대로 통일 이후 10년간의 남북한 식량수급 전망을 추정했다.

이에 따르면 2000년에 통일이 된 것으로 가정할 경우 남북한 전체의 식량수급은 1천802만8000t이 부족하며 5년 후인 2005년에는 1900만t, 2010년에는 2200만t 등으로 부족분이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더욱이 최근 남한은 식량자급률이 30% 안팎에 불과해 부족한 식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다 북한지역은 통일 후에도 식량부족현상이 오랜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 북한의 식량난은 주민에 대한 배급량을 감축함으로써 해결해나가고 있는 실정'이라며 '급속한 통일환경의 혼란기에 배급체계가 기능을 상실한다면 심각한 문제가 예상된다'고 말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