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현충일 추념사서 "金 참여한 광복군이 국군의 뿌리"
野·전문가 "우리국민 생명 앗아간 인물, 무리한 좌파 복권 시도"
 

문재인 대통령은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애국 앞에 보수, 진보가 없다"면서 대표 사례로 독립운동가지만 북한 정권서 장관을 지내고 6·25 때 훈장까지 받은 김원봉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김원봉이 광복군에 참여한 것을 강조하면서 "통합된 광복군은 대한민국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미 동맹의 토대가 됐다"고 했다. 6·25 전몰자를 기리는 현충일 추념사에서 6·25 남침에 관여했던 인물을 좌우(左右) 통합의 상징이자 '국군의 뿌리'로 해석한 것이다.

야당과 전문가들은 "수많은 국군과 국민의 생명을 앗아간 인물을 어떻게 국군의 뿌리인 것처럼 언급할 수 있느냐"며 "사회주의 좌파에 대한 무리한 복권(復權) 시도"라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은 추념사에서 "임시정부는 중국 충칭(重慶)에서 좌우 합작을 이뤘고 광복군을 창설했다"며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편입돼 마침내 독립운동 역량을 집결했다"고 말했다.

김원봉은 일제강점기 때 의열단, 조선의용대를 조직해 무장 투쟁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했다. 그러나 해방 이후 월북(越北)해 김일성 정권에서 국가검열상, 노동상 등 요직을 맡았고, '조국해방전쟁(6·25)'에서 공훈을 세웠다는 이유로 훈장을 받았다. 문재인 정부 들어 김원봉에 대한 서훈(敍勳)을 추진했지만 학계와 정치권에서 찬반(贊反) 논쟁이 격렬하게 일어났다. 좌파 진영은 "잊힌 역사의 반쪽에 대한 복권"이라고 주장했지만, 우파에선 "대한민국 정체성 파괴"라고 반박했다.

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문 대통령이 김원봉을 다시 언급한 것은 보훈 대상에 친북(親北) 좌파 인물까지 넣어 '역사 다시 쓰기'에 나서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그간 김원봉에게 강한 애착을 보여왔다. 2015년 김원봉의 의열단 활동을 소재로 한 영화 '암살'을 본 뒤 "남북 간 체제 경쟁이 끝났으니 독립 유공자 포상에서 더 여유를 가져도 되지 않을까"라고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원봉은 북한 정권에 참여했지만 결국 숙청된 인물"이라며 "애국과 보훈의 대상에 포함시켜도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다만 "국군의 뿌리는 김원봉이 아니라 그가 참여했던 광복군이라는 뜻"이라고 해명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07/2019060700130.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