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장칼럼] 남북 경제협력에 필요한 에너지,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

북한의 발전설비용량은 743만kW(2015년 기준, 통일부 집계)로 남한(9765만kW)의 7.6% 수준이다. 북한은 수력(52.6%)과 화력(47.4%) 발전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북한 전력설비 중 210만kW는 1970년대 설비이며, 최근 구축한 설비는 1994년 준공한 동평양발전소(15만kW)와 1996년 준공한 12월발전소(15만kW) 정도라는 것이 현재까지 확인된 사실이다.

북한은 전력난을 해결하고자 최근 중국으로부터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매하고 있는데, 송배전 설비는 열악하다는 평가다. 1990년대부터 주민들이 전선을 잘라 팔거나 멀쩡한 송배전 설비를 훔쳐 팔다보니 20~30%의 높은 전력 손실률을 보이고 있다.

북한 경제가 살아나고 나아가 남북 경제협력이 본격화되려면 에너지 문제 해결은 필수다. 전기가 원활히 돌지 않으면 각종 공사나 공장 운영에 제약이 많기 때문이다.

북한의 낡은 석탄화력발전소를 개보수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힘쓰는 것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북한이 대규모 전력을 원한다면 남한에서 만든 전기를 북한에 보내는 것도 방법이다. 다행히도 우리에겐 세계 최고 수준의 송배전 기술력이 있다.

하지만 지난 여름 남한의 전력수요는 기록적인 폭염으로 정부의 예측(8750만kW)을 뛰어넘어 사상 최대(7월 24일, 9272만6000kW)를 기록했다. 예비전력은 700만kW도 되지 않았다.

폭염기에 원전(원자력발전소) 가동률을 높이지 않았다면 순간 급증하는 전력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 블랙아웃(대정전)이 일어났을 수 있었다.

이 시점에서 던질 수 있는 질문은 ‘우리가 쓸 에너지도 부족한데 북한을 도울 수 있겠는가’이다. 기상이변은 올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앞으로 전력수요는 지금보다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공급능력을 키우지 않으면 폭염·혹한기에 북한에 전기를 보내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사업 백지화를 결정한 천지 1·2호기, 대진 1·2호기에 이어 신한울 3·4호기 마저 건설을 중단하면 문재인 정부에선 신규 원전을 단 1기도 짓지 않게 된다. 그렇다고 발전단가가 비싼 가스(LNG)·신재생에너지를 늘려 북한에 전기를 보낸다면 우리 국민의 부담은 커질 수 밖에 없다.

전기는 ‘산업의 쌀’과 같다. 정부가 앞으로도 ‘탈원전’이라는 소신을 고집, 남한에서 전력난이 반복된다면 북녘 땅에 전기를 보내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다. 우리 국민이 쓸 전기도 모자른데 누굴 돕고 걱정할 수 있겠는가.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평양에 간 문재인 대통령은 에너지가 부족한 대한민국을 넘어 에너지가 부족해 허덕이는 북한의 미래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남한이 원전을 기반으로 눈부신 산업발전에 성공했듯이 통일 시대에 한반도가 비상하고자 한다면 풍부한 에너지는 필수다. 그 에너지를 어떻게 생산할지 정답은 이미 나와 있다.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19/2018091902798.html#csidx4a310adfb0b9c6c882e761183e7808e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