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가주석 13년만의 방문 "中선발대 이미 평양에" 보도까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내달 북한을 방북할 가능성이 상당히 큰 것으로 19일 알려졌다. 북한이 8월 중순부터 중국인의 평양 방문을 전격 중단시킨 데 이어 싱가포르 유력 매체는 '시 주석의 9월 9일 방북'을 확정적으로 보도했다. "중국 측 선발대가 평양을 방문 중"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시 주석이 방북하게 되면 2005년 후진타오 주석 이후 중국 최고지도자로는 13년 만에 북한을 찾는 것이다.
 
지난 2005년 10월 북한 평양을 방문한 후진타오(오른쪽) 중국 국가주석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2005년 방북한 후진타오 - 지난 2005년 10월 북한 평양을 방문한 후진타오(오른쪽) 중국 국가주석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맨 왼쪽은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싱가포르 스트레이츠타임스(ST)는 지난 18일 "시진핑 주석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초청으로 방북해 9월 9일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에 참석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ST는 특별한 인용 없이 '우리가 이해하기로는'이라는 이례적인 표현으로 시 주석의 방북을 단정적으로 전했다. 그러면서 "(방북 계획이) 마지막 순간에 바뀔 수도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앞서 북한은 지난 11일부터 오는 9월 초까지 중국인 단체 관광객 및 중국 기업인의 평양행을 차단했다. 중국 외교부나 매체들의 침묵에도 외교가 안팎에서 시 주석의 방북설이 확산되고 있는 이유다.

베이징의 외교 소식통은 19일 "시 주석이 9·9절에 방북할 가능성이 큰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다만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닌 걸로 안다"고 말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4차 방북 등 변수들이 있다는 것이다. 다른 소식통은 "만약 시 주석이 방북한다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 등을 통해 사전에 공개될 가능성이 크다"며 "장쩌민·후진타오 시대를 거치며 중국 최고지도자의 방북은 사전 공개가 관행이 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이 북한에 간다면 2012년 당 총서기에 이어 2013년 국가주석에 취임한 뒤 첫 방북이 된다. 김정은으로서도 집권 후 처음으로 중국 최고지도자를 맞게 된다. '혈맹'으로 불리는 북·중 사이지만 중국 최고지도자급 인사의 9·9절 방북은 1978년 9월 덩샤오핑 당시 부주석과 1988년 9월 양상쿤 당시 국가주석 등 단 2번밖에 없었다.

9·9절 방북은 중국으로선 부담이 적잖은 택일이다. 김정은의 3차례 방중(訪中)에 대한 단순한 답방이랄 수도 있지만, 현 시점에서 시진핑의 방북은 향후 미·중, 비핵화 협상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미·중 관계는 무역전쟁으로 인해 최악이고, 미·북 간 비핵화 논의도 평행선을 달리며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미국은 비핵화 논의 과정에서 중국의 배후 역할을 끊임없이 의심해왔다. 그런 미국이 보는 가운데 시 주석이 평양에서 북·중 우호를 대대적으로 과시했다가, 이후 비핵화 협상 교착 상태가 더 악화되기라도 한다면 거센 '중국 책임론'에 휘말릴 공산이 크다.

18일(현지 시각) 미 국무부가 내놓은 논평도 그 같은 가능성을 시사한다. '시 주석의 방북이 미·북 간 비핵화 협상에 영향을 미칠 걸로 보느냐'는 외신 질의에 미 국무부는 "우리는 북한이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라는 목표로 가는 신뢰할 만한 협상에 진지하게 임할 수 있도록 중국이 고유한 지렛대(대북 영향력)를 사용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비핵화 협상의 틀을 흔들지 말라고 중국을 압박한 것이다.

중국 정부에서도 "시 주석이 방북한다고 해도 9·9절 등 기념일은 아닐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 건 이런 배경 때문이었다. 일각에서는 "시 주석이 아닌 상무위원급이 갈 수도 있다"는 관측도 없지 않다.

이런 부담에도 시 주석이 9·9절에 방북한다면, 강력한 대미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라 는 분석이 나온다. 싱가포르 난양이공대 리밍장 국제학 교수는 "북한의 비핵화에 어떤 중대한 돌파구라도 생기려면 미국이 중국의 더 강한 지지를 받아야 한다는 점을 알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 대북 제재로 인해 북한에 대규모 경제 협력 등 명시적인 선물 보따리를 선사할 수 없는 상황에서, 김정은의 체면을 크게 세워줄 수 있다는 측면도 감안한 것일 수 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20/2018082000160.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