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7일 오전 9시 30분 첫 만남을 가진 뒤 2시간 30분가량 대화를 나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의장대의 사열을 받으며 김정은에게 “청와대에 오면 훨씬 좋은 장면을 보여줄 수 있다”고 했고, 김정은은 “대통령이 초청해주시면 언제라도 청와대에 가겠다”고 답했다.

김정은은 이날 평화의집 환담장에서 “문 대통령이 우리 때문에 NSC(국가안전보장회의)를 새벽에 여느라 수고하셨고 습관이 되셨겠다”며 “새벽잠을 설치지 않게 내가 확인하겠다”고도 했다. 다음은 문 대통령과 김정은의 대화를 재구성한 내용.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이 27일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한측 구역으로 가고 있다. 이어 문 대통령과 김정은 다시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측 구역으로 돌아왔다. /사진공동취재단

◇군사분계선(MDL)

문재인 대통령(이하 문) : 남측으로 오셨는데, 저는 언제쯤 넘어갈 수 있겠느냐?

김정은(이하 김) : 그럼 지금 넘어가 보는 게 어떠신가?(문 대통령의 손을 이끌고 MDL을 넘어갔다 옴)

◇전통 의장대 사열

문 : 외국 사람들도 우리 전통 의장대를 좋아한다. 그런데 오늘 보여준 전통의장대는 약식이라 아쉽다. 청와대에 오면 훨씬 좋은 장면을 보여 드릴 수 있다.

김 : 아 그런가. 대통령께서 초청해주면 언제라도 청와대에 가겠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오전 판문점 평화의집앞에서 국군의장대 사열을 마친 후 정상회담장으로 이동하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의장대 사열 후 수행원과의 만남

김 : 오늘 이 자리에 왔다가 사열이 끝나고 바로 돌아가야 하는 분들이 있다.

문 : 그러면 가기 전에 남북공식수행원이 기념으로 사진을 함께 찍었으면 좋겠다.(청와대는 이후 예정에 없었던 포토타임을 가졌다고 설명)

◇평화의 집 로비

김 : (로비에 걸린 민정기 화백의 ‘북한산’ 그림을 보며) 이건 어떤 기법으로 그런 것인가.

문 : 서양화인데, 우리 동양적 기법으로 그런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이 27일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사전 환담

문 : (환담장 뒷벽에 걸린 김중만 작가의 ‘훈민정음’ 소개하며) 이 작품은 세종대왕이 만든 훈민정음의 글씨를 작업한 것이다. 이것을 보면 ‘서로 사맛디’는 서로 통한다는 뜻이고 글자에 ‘ㅁ’이 들어가 있다. ‘맹가노니’는 만들다는 뜻이다. 거기에 ‘ㄱ’을 특별히 표시했다. 서로 통하게 만든다는 뜻이다. 사맛디의 ‘ㅁ’은 문재인의 미음, 맹가노니의 ‘ㄱ’은 김정은의 ‘ㄱ’이다.

김 : 세부에까지 마음을 썼다.

문 : 여기까지 어떻게 오셨나?

김 : 새벽에 차를 이용해 개성을 거쳐 왔다. 대통령께서도 아침 일찍 출발했겠다.

문 : 난 불과 52㎞ 떨어져 있어 한 시간 정도 걸렸다

김 : 대통령께서 우리 때문에 NSC 참석하느라 새벽잠 많이 설쳤다는데, 새벽에 일어나는 게 습관이 됐겠다.

문 : 우리 특사단이 갔을 때, 선제적으로 말씀해줘서 앞으로 발 뻗고 자겠다.

김 : 대통령이 새벽잠 설치지 않도록 내가 확인하겠다. 불과 200m 오면서 왜 이리 멀어 보였을까. 또 왜 이리 어려웠을까 생각했다. 원래 평양에서 대통령을 만날 줄 알았는데 여기서 만난 게 더 잘됐다. 대결의 상징인 장소에서 많은 사람이 기대를 갖고 보고 있다. 오면서 보니 실향민, 탈북자, 연평도 주민 등 언제 북한군 포격이 날아올까 걱정하는 분들도 오늘 우리 만남에 기대하고 있는 걸 봤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부분은 김정은 위원장의 발언으로, 김 위원장이 남측의 언어로 설명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기회를 소중히 해서 남북 상처가 치유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군사분계선이 높지도 않은데 많은 사람이 밟고 지나다니다 보면 없어지지 않겠나.

문 : 도로변에서 많은 주민이 환송해줬다. 그만큼 우리 만남에 대한 기대가 크다. 대성동 주민들도 나와서 사진 찍었다. 우리 어깨가 무겁다. 오늘 판문점을 시작으로 서울과 평양, 제주도와 백두산으로 만남이 이어졌으면 한다.

문 : (장백폭포와 성산일출봉 그림을 가리키면서) 왼쪽에는 장백 폭포, 오른쪽에는 성산일출봉 사진이 있다.

김 : 나보다 백두산에 대해 더 잘 아는 것 같다.

문 : 백두산에 가본 적이 없다. 중국 쪽으로 백두산 가는 사람이 많다. 나는 북측을 통해서 꼭 백두산에 가보고 싶다.

김 : 대통령이 오면 솔직히 걱정되는 것이 우리 교통이 불비해 불편을 드릴 것 같다. 평창 올림픽 다녀온 사람들이 말하는데 평창행 고속열차가 좋다고 하더라. 남측의 이런 환경에 있다가 북측에 오면 참으로 민망할 수 있겠다. 우리도 준비해서 편하게 올 수 있도록 하겠다.

문 : 앞으로 북쪽으로 철도 연결되면 모두가 고속철도 이용할 수 있다. 이런게 6·15, 10·4 합의서에 쓰여 있는데 10년 동안 실천되지 못했다. 남북 관계가 달라져 그 맥이 끊긴 게 한스럽다. 김 위원장이 힘써 10년 만에 혈맥을 잇게 됐다.

김 : 기대가 큰 만큼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큰 합의를 해놓고 10년 동안 실천하지 못했다. 오늘 만남도 제대로 실천이 되겠냐는 회의적인 시각이 있다. 짧은 거리 오면서 정말 11년이나 걸렸나 생각했다. 11년 동안 못한 걸 100여일동안 달려왔다. 굳게 손잡고 가면 지금보다 나빠질 수 있겠느냐고 생각했다.

김 : 여기서 만나면 불편하지 않을까 했는데, 친서와 특사단을 통해 대화를 해보니 마음이 편했다. 서로 간 신뢰와 믿음이 중요하다.

문 : (김여정 가리키며) 김여정 부부장이 남쪽에서 스타가 됐다. (일동 웃음, 김여정 얼굴 빨개짐)

문 : 오늘 주인공은 김 위원장과 나다. 과거 실패를 거울삼아 잘할 것이다. 과거엔 정권 중간이나 말에 합의가 이뤄져, 정권이 바뀌면서 실천이 안됐다. 나는 1년차다. 앞으로 속도를 유지했으면 좋겠다.

김 : 김여정이 속한 부서에서 ‘만리마 속도전’이라는 말을 만들었다. 이걸 남과 북의 통일의 속도로 삼자고 했다. (일동 웃음)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 살얼음에 안빠지려면 속도를 늦춰선 안된다는 말이 있다.

문 : 과거 되돌아 봤을 때, 중요한 건 속도다. 김 위원장 이제 자주 만나자. 마음을 단단히 먹고 원점 오는 일이 없도록 해야한다. 기대 부응해 좋은 세상 만들자. 앞으로 우리도 잘하겠다. 북측에 큰 사고 있었다고 들었다. 수습하느라 고생이 많았다. 김 위원장이 직접 나서 병원에 가 위로하고, 특별 열차를 배려했다고 들었다.

김 : 대결의 역사 종지부 찍자고 왔고 우리 사이에 걸린 문제에 대해 대통령과 무릎을 맞대고 풀려고 왔다. 꼭 좋은 앞날이 올 것이라 확신하게 됐다.

문 : 한반도 문제는 우리가 주인이다. 그러면서도 세계와 함께 가는 우리 민족이 될 것이다. 우리가 이끌고 주변국이 따라올 수 있게 해야 한다.

◇오전회담 후 마무리발언

김 : 내가 말씀드리자면, 고저 비행기로 오시면 제일 편안하시니까, 우리 도로라는게,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불편합니다. 제가 오늘 내려와보니까 이제 오시면 이제 공항에서 영접 의식을 하고 이렇게 하면 잘 될 것 같습니다.

문 : (웃음) 그정도는 또 닥쳐서 논의하는 맛도 있어야죠. (웃음)

김 : (웃음) 오늘 여기서 다음 계획까지 다 할 필요는 없지요.

문 : 아주 오 늘 좋은 논의를 많이 이뤄서 아주 우리 남북의 국민들에게, 전 세계 사람들에게 아주 선물이 사람 될 것 같습니다.

김 : 많이 기대하셨던 분들한테 물론 이제 시작에,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겠지만, 우리 오늘 첫 만남과 오늘 이야기된게 발표되고 하면 기대하셨던 분들이 조금이나마 기대를 만족을 드렸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문 : 감사합니다.

김 : 감사합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27/2018042701425.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