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장칼럼] 평창올림픽이 남긴 숙제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17일간의 대장정을 마치고 세계 스포츠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이번 대회는 삼수 만에 유치해 30년 만에 한국에서 열린 올림픽이라는 점에서 세계인의 관심을 받았다. 김일성 일가로는 처음으로 남한 땅을 밟은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녀 이방카 트럼프 미 백악관 선임고문의 방한이 화제를 모았다.

평창 동계올림픽은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고 스포츠 이벤트로 남과 북이 하나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세계에 보여줬다. 올림픽의 이념인 평화의 메시지를 전하는데 충실했다.

하지만 평화 외에 당초 대회 준비단계부터 내걸었던 슬로건인 ‘저탄소 그린올림픽’이라는 사실이 부각되지 못해 아쉬움이 남는다.

평창 동계올림픽은 159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상쇄, 최종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0’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였다. 최종 보고서는 올 4월에 나오기 때문에 목표 달성 여부는 알 수 없지만 5가지 온실가스 감축 전략(저탄소 시설 건설, 저탄소 수송시스템 구축, 저탄소 인증제품 구매, 폐기물 발생 최소화, 풍력발전 에너지 사용)은 상당 부분 효과를 봤다는 평가다.

올림픽을 위해 신설된 강릉 아이스 아레나, 관동 하키 센터 등 6개 신규 설상·빙상 경기장은 태양광 발전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지열을 이용해 난방용수를 공급했다. 올림픽에 필요한 전력 194MW는 풍력발전으로 조달했다. 올림픽을 위해 건설된 고속철도는 탄소배출량이 승용차 대비 8분의 1에 불과, 42만명의 관중이 이용했다면 6654톤가량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었다.

하지만 경기장 일대에서 관중 수송을 위해 동원된 셔틀버스는 상당수가 경유차였다. 전기차와 수소차는 올림픽 운영인력이 이용했을 뿐 일반인이 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준비되지 못 했다.

수소차 강국 일본이 개최하는 2020 도쿄 하계올림픽에서 수소버스가 대거 등장하고, 전기차 육성에 팔을 걷어부치는 중국이 개최하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전기버스가 대거 운영된다면 ‘평창 동계올림픽은 무엇을 했나’라는 지적이 제기될 것이다.

강원도 정선 가리왕산에 들어선 알파인스키 활강경기장은 숲을 훼손하고 건설돼 환경단체의 비난을 받았다. 조직위측은 올림픽이 끝난 뒤 원상 복원을 약속했지만 며칠간의 경기를 위해 수천억원의 예산을 낭비하고 환경을 파괴하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

1994년에 개최된 릴레함메르(노르웨이) 동계올림픽은 생태계 보호를 위해 산속에 동굴을 파 아이스하키 경기장을 짓고 포크·접시 등의 일회용품조차 전분으로 만들어 미생물에 분해되도록 고안했다. 스키점프대를 세우며 생긴 화강암 쓰레기를 기념품을 만들어 파는 재치를 보였다.

평창 동계올림픽의 시계추를 돌릴 수 없다면 이제 우리에게 남은 숙제는 철저한 사후 처리와 냉정한 반성이다. 또 다른 글로벌 이벤트가 한국에서 열릴 때 반영할 수 있도록 무엇이 부족했고 개선되어야 할 지 공유하고 토론해야 한다. 평창 동계올림픽이 ‘최고의 올림픽’으로 기억되기 위해선 대회 유치·운영 만큼이나 복원·사후활용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지 말기를 바란다.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2/25/2018022500868.html#csidx98d8ee80b4ecb729ca72b84c95858ea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