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김지훈 기자 =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 회고록 파문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그는 회고록에서 2007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투표에 앞서 북한에 의견을 물어봤다고 밝힌 가운데 당시 안보정책 조정회의 참석자들의 증언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당시 비서실장이던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회고록 파문이 일자 인권결의안 '기권'은 관계장관들의 다수 의견을 반영한 결정이었다고 해명했다. 이는 북한의 입장에 관계없이 당시 정부가 남북 관계를 고려한 전략적 판단을 했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문 전 대표가 자신이 인권결의안 표결 관련 회의에서 찬성과 기권 중 어느 쪽 입장을 지지했는지 "기억이 잘 안 난다"며 모호한 태도를 보이자, 이에 대한 회의 참석자들의 증언이 나왔다. 이재정 당시 통일부장관은 문 전 대표가 2007년 11월15일 첫 안보정책 조정회의 당시 결의안에 찬성 쪽이었다고 주장했다.

송 전 장관이 회고록을 통해 당시 기권을 주장했다고 밝힌 사람은 이 전 장관, 김만복 전 국정원장, 백종천 전 안보실장이다. 당시 국방부장관이었던 김장수 주중대사는 "특별한 의견이 없었다"고 밝혔다.

 

 

회고록과 당시 참석자들의 기억을 종합해보면 기권을 주장한 사람은 3명이다. 김 대사의 경우에도 당시 찬성에 가까운 입장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즉 다수 의견에 따라 인권결의안에 기권하기로 결정했다는 당초 해명과 달리 상호 입장이 팽팽하게 맞섰을 거라는 추측이 나오는 이유다.

또한 당시 회의에는 청와대 수석비서관들도 참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 수석비서관이었던 윤병세 외교장관은 11월15일, 11월16일, 11월18일 회의에 모두 참석해 찬성 입장을 표명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그러나 민주당 측에서는 "윤 장관이 3일 모두 회의에 참석한 것도 아니고 발언권도 없었다"고 반박하고 있다.

윤 장관에게 당시 어느 정도의 발언권이 주어졌느냐에 대해 의견이 갈리지만, 적어도 당시 회의 분위기가 기권이 압도적으로 많지는 않았을 거라는 추측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병호 국정원장은 지난 19일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회고록이 구체적이고 사리에 맞기 때문에 사실이나 진실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문 전 대표는 새누리당이 '종북놀음'에 빠져 있다고 지적하며 "청와대와 정부까지 가세하는 것 같은데 국민으로부터 심판받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jikime@newsis.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