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포격 도발]

-軍 대응 문제점
국방부는 고사포·직사포를 로켓포로 잘못 파악

전하규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이 2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실에서 북한의 포격 도발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뉴시스[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전하규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이 2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실에서 북한의 포격 도발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뉴시스[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군 당국이 20일 오후 북한의 고사포 및 직사포 도발에 대해 K-55 자주포의 155㎜ 포탄 29발로 대응포격을 한 것은 북한의 '압박성' 도발에 상응하는 대응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국방부가 당초 '북한의 로켓포 도발에 대해 원점 지역을 타격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원점 타격을 하지 않았다. 거짓말을 한 것인지, 상황 파악을 초기에 잘못한 것인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또 북한이 1차 포격을 한 지 1시간 11분, 2차 포격을 한 지 52분 만에 대응 포격을 해 '늑장 대응' 논란도 일고 있다. 군 수뇌부는 그동안 "북한이 도발할 경우 주저함 없이 과감하고 단호하게 대응하라"고 예하 부대에 지시해왔는데 이와 거리가 있는 대응이 아니냐는 것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고사포탄의 경우 1발만 발사됐고 우리 측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아 대포병 레이더가 허상(虛像)을 잡은 것인지 등에 대한 확인과 판단이 필요해 곧바로 원점을 타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직사포의 경우도 북측이 DMZ 내 지역에 포격했고 우리 측 피해가 없어 DMZ 내 북측 지역을 대응 포격하는 것으로 대응했다는 것이다. 서해 NLL(북방한계선)의 경우도 북한이 NLL 이남 수역으로 포격하고 우리 측 피해가 없을 경우 NLL 북측 수역으로 대응 포격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얘기다.

하지만 DMZ 지역을 넘어 우리 전방 민통선(민간인 통제선) 지역으로 떨어진 고사포탄의 경우 자칫하면 우리 부대나 민간에 떨어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원점 타격을 해야 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군 당국은 이날 대응수위 등이 합참 등 군 수뇌부가 아니라 사단장(소장) 및 군단장(중장) 등 예하 부대 차원에서 결정된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앞으로 과연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었느냐를 놓고 군 수뇌부와 일선 부대 간에 책임 소재 문제가 불거질 가능성도 있다. 국방부가 당초 기자들에게 고사포 및 직사포를 로켓포로 잘못 파악하고 원점 타격하고 있다고까지 사실과 다른 문자를 전파하는 등 허둥대는 모습을 보인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군 일각에선 "북한이 DMZ 지뢰 도발을 한 이후 오늘 포격 도발을 하는 한편 북한군 총참모부가 48시간 내에 대북 심리전을 중단하지 않으면 군사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협박하고 나선 상태여서 북한의 추가 도발을 예방하기 위해선 원점 타격 등 더 단호한 대응을 해야 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