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배 조선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이윤배 조선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한국수력원자력이 원전 반대 그룹이라고 자칭하는 해커들로부터 해킹을 당해 내부 자료가 유출돼 충격을 주고 있다. 그런데 이미 2년 전, 한수원은 감사원 감사에서 취약한 보안 시스템 때문에 사이버 테러로 '구멍'이 뚫릴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을 받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사이버 테러는 인터넷 시대의 산물로서 컴퓨터망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화돼 있는 군사, 행정, 금융 등 국가 주요 정보망을 파괴하거나 일시에 마비시킬 수 있다. 이 같은 사이버 테러는 국가 안보와도 직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불시에 전쟁이 발발할 경우 재래식 무기를 동원한 군사시설 직접 타격 이전에, 전력망이나 군사 통신망에 사이버 테러를 감행해 이들을 마비시켜 군 소통 체계를 무용지물로 만들 가능성이 높다.

이미 우리는 2009년 7·7 디도스(DDoS·분산 서비스 거부)와 2011년 3·4 디도스 공격, 농협 전산망 해킹, KBS·YTN·MBC 등 주요 언론 기관 해킹, 그리고 청와대 등 주요 정부 기관 해킹 같은 사이버 테러를 실제로 경험한 바 있다. 그런데 당시 이 모든 사이버 테러가 북한 소행으로 밝혀져 국민에게 충격을 주었다.

북한 군부는 미래 사이버 전쟁에 대비하고 사이버 정보 첩보전을 수행하기 위해 북한군 내 특수부대와 미림대학을 중심으로 사이버 테러 요원을 집중적으로 양성하고 있다. 북한은 적게는 3000명에서 많게는 1만여명의 전문 해커 요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전문 해커 요원은 북한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그런데 이 같은 사이버 테러가 점차 다양화·지능화되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2011년 발생한 디도스 공격은 일반적인 트래픽과 디도스 트래픽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공격해 정부 주요 전산망을 일시에 마비시켰다.

따라서 사이버 테러에 맞대응하기 위해서는 국방부와 정부 관련 부처가 우수 인재를 조기 발굴하여 전문 해커 요원으로 집중 육성해야 한다.

아울러 국방부 및 정부 주요 기간망 보안을 위한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투자를 병행해야 한다. 사이버 테러는 북한은 물론 전 세계에 널린 전문 해커들에 의해서 언제든지 감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