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구헌 서울 노원경찰서 보안과
정구헌 서울 노원경찰서 보안과
북한 이탈 주민은 10월 현재 약 2만7000여명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나 대다수가 남한 사회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조기 정착하기 위해선 취업을 통한 경제적 자립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일부 이탈 주민들은 정부 생계급여 지원금에만 의존하고 있어 이들의 의식 개선과 함께 생계급여비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북한 이탈 주민은 하나원(3개월) 교육을 마치고 사회로 배출되는데 사회 조기 정착을 위해 정착지원금, 생계급여, 취업 지원, 교육 지원, 신변 보호 담당관제(주거지 경찰서) 등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생활보호대상자로 지정해 매월 생계급여비(1인 가구 약 45만원)를 지급하고 있다. 2011년도 기준 북한 이탈 주민의 기초생계비 수급 비율은 46.7%(일반 국민 2.9%)이며, 2012년 탈북민 실업률은 19.9%로 매년 증가세이다.

북한 이탈 주민의 실업률이 증가하는 이유는 현행 규정상 4대 보험이 적용되는 직장에 취업하면 보호 기간에 구분없이 생계급여 지급이 중단되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소득이 노출되지 않는 건설공사 현장, 식당, 주유소 등에서 일용 근로자 및 시간제 아르바이트 등으로 전전하고 있다.

이들의 자립과 조기 사회 정착을 위해 보호 기간 5년 동안은 취업자 및 무직자 구분 없이 생계급여비를 일률적으로 지급하여 열심히 일하는 이탈 주민은 생계급여비와 정당한 임금을 함께 받을 수 있도록 법 제도 개선을 통해 무직자들에게 근로 의식을 고취해야 한다.

또 2010년 포스코와 통일부 간 북한 이탈 주민 취업 지원 사업 업무협약(MOU) 체결로 이탈 주민을 채용했으나, 인천 지역에 거주 중인 이탈 주민으로 한정하여 채용 인원이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들의 안정적인 취업을 위해선 국내 대기업들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하나원 교육시 각 기업체 협약 후 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을 사전 연마하여 사회 배출과 동시에 취업할 수 있는 제도 등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취업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