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자유아시아방송 워싱턴-정영 jungy@rfa.org

얼마 전 평안남도 개천시를 다녀왔다는 국경지방의 한 주민은 “개천시에도 1만 달러가 넘는 아파트가 적지 않았다”면서 “시내 중심에서 방 두 개짜리 아파트는 7천 달러, 4칸짜리 단독 주택은 1만 5천 달러에 거래되고 있었다”고 1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그는 개천시는 북한에서도 내륙지방에 속해 석탄 외에 자원도 별로 없고, 상권도 발달되지 않은 곳인데도, 물가 상승에 힘입어 10년 새 주택 가격이 5배나 뛰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에서 주택은 국가소유지만, 공급이 딸리게 되면서 주민들 끼리 웃돈을 주고 명의를 변경하는 식으로 암거래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매매되는 주택에 한해 구매자에게 사용권이 주어지는데, 이는 암묵적으로 소유권도 행사해 다른 사람에게 전매도 할 수도 있습니다.

이 소식통은 시급 간부들이 권세가 있을 때 단독 주택을 지어놓고 은퇴 후에도 차지하는 데, 이런 집들은 1만 5천 달러가 넘는다고 말했습니다.

또 재일본 귀국자들이 사는 아파트도 10년 전만 해도 3천 달러에 매매되었지만, 현재는 1만 달러가 넘는다고 그는 이야기 했습니다.

지방의 주택가격이 상승한 이유에 대해 중국을 방문한 복수의 북한 주민들은 장마당에서 쌀과 고기 등이 중국 위안화와 달러로 거래되면서 집 값 상승을 부추겼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중국 단동에 나온 한 북한 방문자는 “평양이나 신의주 지방은 예전부터 달러로 집이 매매되기 시작했는데, 뒤따라 평성과 순천 등 도매상권이 발달된 지방에서 달러로 집이 거래되기 시작했다”고 말했습니다.

세계경기 둔화로 중국과 한국 등 외국에서는 부동산 거품이 서서히 꺼지는 추세이지만, 북한은 외부 영향에 관계없이 내부 수요와 공급에 따라 여전히 상승단계에 있다는 설명입니다.

치솟는 주택가격 때문에 ‘내집 마련’의 꿈이 깨지고 있다는 한숨도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 동북지방을 방문 중인 또 다른 친척 방문자도 “보통 부모들이 집 살 돈이 없어 자녀들을 시집 장가보내고도 함께 사는 동거살림 가족이 늘어나고 있다”면서 “요새 젊은이들에게 있어 ‘내집 마련’은 엄두도 못낸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북한 노동자의 월급은 3천원(암시세 환율 0.4달러) 수준으로, 근로자 한 명이 5천 달러짜리 주택을 구입하자면 1천년 이상 꼬박 먹지 않고 월급을 모아야 가능하다고 남포 주민은 언급했습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