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이후 북한 지역을 개발하려면 천문학적인 자금이 필요하다. 도로와 철도를 건설하고 공장을 짓는 데 큰돈이 든다. 이런 비용을 줄이려면 북한을 먼저 국제사회로 끌어들이고, 교류와 협력을 통해 경제발전의 기틀을 마련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지난 4월 15일 서울 여의도 수출입은행 본점에서 열린 '북한개발연구센터' 개소식에서 이덕훈 행장(가운데) 등 참석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한국수출입은행 제공
지난 4월 15일 서울 여의도 수출입은행 본점에서 열린 '북한개발연구센터' 개소식에서 이덕훈 행장(가운데) 등 참석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한국수출입은행 제공
한국수출입은행이 '남북협력기금'을 운영하며 이런 작업을 주도하고 있다. 이 기금은 북한과 교역하고 경제협력 사업을 하는 민간에 자금을 지원하고, 북한과 거래하다 손실을 본 경우 기업의 손실을 보전해주는 데 쓰인다. 과거 경수로를 공급하는 사업에 자금을 빌려준 것도 바로 이 기금이다.

수출입은행은 대북 경제활동뿐만 아니라 인적 왕래나 사회 문화 교류 활동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이산가족이 북한을 방문할 때 경비를 지원하고, 남북한이 공동으로 하는 문화·학술·체육행사 등에도 기금으로 지원한다. 세계보건기구(WHO)를 통한 식량이나 보건의료 지원 등도 기금의 역할 중 하나다.

수출입은행은 통일 기반 구축에 선제로 대응하기 위해 지난 4월 '북한개발연구센터'를 열고 전문적인 연구도 시작했다. 해외 개발 지원 노하우와 남북협력기금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북한 개발 지원 전략을 체계적으로 세우겠다는 것이 이 센터의 목표다.

북한개발연구센터는 현재 남북 경제협력 로드맵을 수립하고, 북한 개발 정책을 미리 연구하고 있다. 통일 재원과 금융 통합, 북한의 외채 문제 등이 주요 연구 과제다. 지난달에는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과 '2014 북한개발 국제 콘퍼런스'를 열고, 각국의 전문가들과 통일 기반 구축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이덕훈 수출입은행장은 "통일된 한반도는 유라시아와 동북아를 연결하는 심장이 돼 동북아 국가들에 새로운 발전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면서 "협력 관계에 있는 국제금융기구들과 북한 개발 협력 방안도 모색하는 등 동북아 개발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