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삼오오 뭉쳐서 마을 지나는 북한 주민들


북한이 6·28 경제개선 조치의 일환으로 가족단위로 운영하는 협동농장 분조관리제를 올해부터 본격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중국에 들어온 함경남도 주민은 "북한이 올해부터 협동농장의 땅을 각 분조별로 모두 나눠 줬다"고 자유아시아 방송(RFA)에 말했다.

평안남도 남포의 한 주민도 "분조관리제를 시행함에 따라 주민들 중에는 앞으로는 조선(북한)에서도 쌀이 남아돌게 될 것이라고 기대에 들떠있는 사람들이 많다"고 증언했다.

그러나 기존의 간부들을 중심으로 한 농장관리 체계에는 아무런 변동이 없다고 주민들은 전했다.

주민 소식통들은 "지난해 분조관리제 시행 얘기가 나오면서 '농장 관리위원회'나 '농촌 경영위원회' 간부들은 분조관리제가 실시되면 자신들의 일자리가 없어질 것을 우려해 이를 극력 반대하는 분위기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당국에서도 농장간부들에 대해서는 손을 못 대고 이들의 자리를 보장해주는 방향으로 분조관리제를 손질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소식통들은 "분조관리제를 실시한다 해도 협동농장에 군림하는 간부들이 줄어들지 않는 한 전체 수확량의 30%가 분조원들에게 제대로 돌아가겠는가 하는 우려가 여전히 남아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노동신문은 이달 18일 '분조관리제를 더욱 강화하자'는 제목의 기사에서 "분조장들은 포전담당제를 분조의 구체적 실정에 맞게 실시하고 매일 노력일 평가사업을 정확히 진행해야 한다"며 "농업근로자들에게 일한 것만큼 번 것만큼 분배 몫이 정확히 차례지도록 하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북한은 협동농장에서 농사일을 담당하는 말단 단위로 '분조'를 두고 운영하고 있다. 협동농장 분조관리제는 김일성 주석의 1965년 5월 강원도 회양군 포천협동농장 현지지도를 기점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북한은 지난해 6월 말 '새경제관리체계'를 선언하면서 10~25명 정도의 분조 인원을 7~8명으로 줄이고 가족이 포함된 분조 구성 허용과 생산계획량을 현실에 맞게 조정하는 '분조도급제'를 시도, 북한 농업부문의 변화가 주목됐다.




/뉴시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