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해없는 나라'라고 자랑해오던 북한이 최근에는 환경 보호와 공해 문제에 본격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 최근호(11.23)는 북한 각지의 강.하천들에서 나타나고 있는 심각한 오염현상들을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예방대책들을 제시했다.

신문은 우선 강.하천을 보호하기 위한 `전군중적 운동'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강.하천에 공장폐수나 광산폐수가 흘러들면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에 직간접적으로 위험을 줄 수 있다'고 강조, 환경오염의 위험성을 부각시켰다.

이와 함께 강.하천의 수질조건을 보장하기 위한 주의사항으로 생활오수나 동물의 배설물, 공장의 폐수 등은 철저히 정화하여 내보낼 것과 함께 수원(水源)으로 이용되는 강.하천에서 차세척을 하거나 목욕, 빨래를 하는 일은 절대로 없어야 한다고 주의를 환기시켰다.

신문은 특히 각지 공장. 기업소들과 광산들에서 유독성 물질을 내보내지 않도록 폐수정화장을 설치해 깨끗이 정화된 물을 강.하천에 내보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민주조선의 보도에서 북한 지역 강.하천의 오염 정도나 규모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적시되지는 않았으나 환경오염이 비교적 상당히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지난 9월 17일 `국제오존층 보호의 날'을 맞아 국토환경보호성 산하 환경보호연구소의 곽선창 과학부소장이 북한의 환경보호와 관련, '우리 공화국(북한) 정부에서도 오래 전부터 환경보호에 커다란 관심을 돌리고 있다'고 말한 대목에서도 그같은 사정을 짐작케 한다.

실제로 지난 90년대 중반에 북한을 다녀온 외국인들이나 탈북자들에 따르면 평양의 식수원(食水源)인 대동강은 물고기가 죽어 떠오르는 광경이 수시로 목격되는 등 오염도가 높아 수돗물을 그대로 마신 주민들의 복통호소가 잇따르기도 했었다고 한다.

최근 북한 언론들이 주민들에게 물을 끓여 먹을 것을 권고하거나 `신덕샘물'등 각지의 이름난 생수나 약수가 건강에 좋다며 적극 권장하고 있는 이유도 식수 오염문제와 무관치만은 않은 듯하다.

북한의 환경오염 문제는 객관적인 자료가 없는데다 북한언론마저 정확하게 보도하지 않고 있어 실상이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종래 북한의 주장처럼 공해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어 있지 않은 것만은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도 지난 60년대 이후 공업화 추진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공해문제에서 예외적일 수는 없었을 것이다. 60년대 당시 제1차 7개년계획에 따라 중공업 우선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는 과정에서 중화학공업단지 건설 등 공업규모의 확대와 광산 등의 무질서한 개발로 인해 대기 및 수질오염 등 산업공해가 심각해진 것이다.

북한의 60년대 산업시설들은 약 70% 정도가 공해방지 설비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낙후시설들이 많다. 게다가 산업구조 자체가 공해가 많이 발생하는 제철, 제련, 금속, 채취 및 석탄, 화학공업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반해 어려운 경제사정 때문에 최근까지도 공해방지 시설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청진, 함흥, 순천 등 중화학 공장.기업소 밀집지역에서는 환경오염이 심상치 않은 상태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탈북자들에 따르면 이미 지난 90년대 중반부터 이 지역에 사는 주민들은 매연과 유독가스로 인한 호흡기 질환을 호소할 정도로 공해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북한 당국이 지난 86년 4월에 `환경보호법' 제정에 이어 95년 12월에는 `환경보호법 시행규정', 97년 말에 `바다오염방지법', 98년에는 `국토환경보호단속법'을 잇따라 채택했던 것도 이처럼 환경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상한데 따른 정책적인 대응책이었던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북한은 특히 지난 95년 대홍수 피해를 본 후 이듬해부터 해마다 봄철(3∼4월)과 가을철(10∼11월) 두차례에 걸쳐 `국토관리총동원기간'을 설정하고 전사회적인 환경정비사업을 대대적으로 실시하면서 환경오염 및 공해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