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중률 일정 수준 향상..실전 배치 단계 증명


◇1998년북한이 인공위성이라고 주장한 광명성1호의 발사모습./연합자료사진

북한이 지난달 5일 발사한 탄도미사일 7발 가운데 대포동 2호를 제외한 노동 및 스커드 미사일 6발이 북한이 사전에 설정한 항행금지구역 내에 착탄했음이 미.일 양국 정부의 분석에서 판명됐다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6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발사 직후에 낙하지점이 400-500km 범위로 추정된다고 발표했으나 실제로는 북한이 목표했던대로 반경 50km의 범위 내에 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본 방위청은 이에 따라 북한이 갖고 있는 노동(사정 1,300km)과 스커드 미사일(사정 300-500km)의 명중률이 일정 수준 향상돼 실전 배치 단계에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며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요미우리는 덧붙였다.

북한은 발사 전날인 7월4일부터 11일까지 북한 동북부의 동해 일대 약 1천600km의 정삼각형 해역을 항행금지구역으로 정해 일본 관계자들에게 사전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일 양국이 이지스함 레이더 정보를 토대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북한 기대령에서 발사된 노동 및 스커드 미사일은 동북쪽으로 약 300-400km를 비행한 뒤 항행금지구역 내에 위치한 반경 약 50km의 원안에 떨어졌다는 것이다.

방위청은 미군의 조기경계위성에서 탐지한 적외선에 의한 초기 정보를 토대로 발표했던 탄착지점이 기대령에서 300-800km의 범위로, 항행금지구역을 벗어났다며 명중률에 의문을 표했었다.

그러나 북한이 목표했던 대로 착탄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방위청은 일본을 사정에 넣을 수 있는 노동과 스커드 미사일의 발사 훈련이 일정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요미우리에 따르면, 북한은 노동미사일을 지하 군사시설 등에 200기를 보유, 실전배치하고 있으며, 대형 트레일러의 이동식 발사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전에 발사 징후를 포착하기가 곤란하다는 것이다.

일본은 발사 직후에 추락한 대포동 2호의 실패 원인에 대해서도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