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로자 500여명과 북한 근로자 7천여명이 북한 개성공단에서 미국이 ‘질색하는’ 자본주의 실험을 벌이고 있다고 미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이 18일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남한, 북한에 고립된 자본주의를 가져가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개성공단 조성후 처음으로 지난 6월22일 열린 외국계 기업인 200여명 상대의 ‘개성공단 투자설명회’와 개성공단에 입주해 있는 15개 기업 가운데 태성하타, 삼덕스타필드 등의 근로 모습을 상세히 소개했다.

이 신문은 이번 투자설명회 주최측의 말을 인용, 개성공단이 오는 2012년 완공되면 2천개 기업이 입주하고 북한 근로자 70만명이 일하게돼 뉴욕 맨해튼보다 규모가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중국의 센젠이 20년전 그랬듯, 개성공단이 북한을 경제개혁과 세계를 향한 개방으로 이끌며 나아가 한반도 통일의 길을 닦을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훨씬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주최측의 주장을 토대로 설명했다.

특히 개성공단 사업을 총괄하는 한국 관리가 개성공단 사업을 “사실상의 통일”로 부르면서 “통일은 이미 진행중이다. 독일과 달리 갑자기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사실도 곁들였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래 개성공단 사업 뿐 아니라 정치, 경제, 군사, 문화, 학술 등 다방면에서 남북교류가 활성화돼 지난해 북한을 찾은 한국인이 금강산 관광객을 제외하고도 8만명에 이르렀으며, 60여개 시민단체가 농업, 의료 등 대북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한국 정부로부터 세제혜택 등 각종 지원을 받는다면서 이러한 교류를 바탕으로 지난해 남북교역액이 처음으로 10억달러를 넘은 사실을 전했다.

그러나 동시에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원산지 인정문제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서 걸림돌이 되고 있는 사실과 제이 레프코위츠 미 국무부 대북인권특사가 월스트리트 저널 기고문에서 개성공단을 ‘김정일 정권을 지탱시켜주는 퍼주기’ 사례로 비판하면서 북한 노동자들이 임금을 실제 수령한다는 보장이 없다고 말한 사실도 적시했다.

지난 ‘투자설명회’에 참가했던 피터 벡 서울 주재 국제위기그룹(ICG) 대북전문가는 개성공단의 설비들이 인상적이었으나 북한 근로자의 손에 들어가는 임금이 얼마인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의 호주·뉴질랜드 상공회의소 소속 프랭크 갬블은 개성공단에 입주한 의류업체 신원의 공장을 둘러보면서 “이런 유형의 공장을 케냐, 방글라데시, 인도, 파푸아뉴기니에서 봤다. 한국이 개성공단에서 하려는 것을 우리는 이미 중국과 베트남 등지에서 봤다”면서 “미국도 베트남 투자에 반대했으나 지금은 그곳에 가려고 문을 허물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한 관리는 미국의 개성공단 비판에 “그들이 모르고 있다고 본다”면서 “중국의 인권문제 등 그들(미국인)은 그저 누구든지 비판하려 든다. 자신들의 기준을 세계에 강요하려 하고 있다”고 화를 냈다고 이 신문은 보도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