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석(李鍾奭) 통일부 장관이 한나라당을 비롯해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제 19차 남북장관급회담 실패론에 대해 적극 대응하고 나섰다.

이 장관은 14일 국정브리핑에 기고한 ’국제사회에서 할 도리를 하면서도 남북관계의 동력 유지’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번 남북장관급회담의 개최 배경과 결과에 대해 설명하고 ’대화무용론’을 비롯한 일각의 비판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지난 11일 부산에서 개막한 장관급회담은 남북 간 현저한 입장 차로 공동보도문을 내지 못하고 차기 회담 일정도 잡지 못한 채 일정보다 하루 앞선 13일 종결돼 일각에서 ’이런 회담을 왜 했느냐’는 지적과 함께 이 장관의 책임론이 불거졌었다.

이 장관은 “이번 장관급회담에 대해 ’이런 회담을 굳이 할 필요가 있었냐’는 지적이 있지만 이는 정부가 회담을 개최한 배경에 대해 정확한 이해없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로서도 이번 회담이 결코 순탄치 않으리라는 것은 예상하고 있었지만 아무리 어려워도 또 회담 중단이 아무리 편한 길이라고 해도 회담을 열어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결론이었다”면서 “그것은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이 정부의 일관된 정책기조이며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촉구하는 마당에 스스로 대화의 장을 닫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보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장관은 이어 “먼저 남북대화를 끊게 되면 북한과 미국 등 여타 국가와의 관계가 호전되더라도 남북관계는 장기간 단절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1994년의 상황을 예로 들었다.

그는 “94년 북미갈등과 남북갈등이 동시에 진행되다 북미간 데탕트가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남북대화는 수 년간 단절 상태에 빠졌던 뼈아픈 경험을 가지고 있다”고 상기했다.

그는 “그럼에도 이번 회담을 왜 했냐고 묻는 분들이 있다면 ’대안이 무엇입니까? 회담을 하지 말았어야 하는 것입니까? 회담을 한다면 이런 결과는 예상한 것이었는데 어떻게 하면 좋았다는 것입니까?’라고 묻고 싶다”며 이해를 구했다.

이 장관은 일각에서 제기되는 책임론을 의식한듯 “장관직 10개보다 더 중요한 것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며 남북화해의 동력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해 이번 회담에 임했으며 국민들께 부끄럽지 않게 대처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결론적으로 통일부는 이번 회담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문제와 관련해 국제사회에서 우리가 할 도리를 다하면서도 남북관계의 동력을 잃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자평했다.

이 장관은 특히 “이제 기다리겠다”면서 “우리 입장을 정확히 전달한 만큼 북한의 현명한 판단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북한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