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차관 50만t 관례적 지원, 주민 생계 위협”
北에 ’미사일 정국’ 문제 제기 목소리도


북한의 ’미사일 파문’으로 북한의 쌀 지원 요청에 남측이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대북 지원단체들은 “그럼에도 최소한의 인도적 식량지원은 계속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단체 관계자들은 12일 장관급회담에서 북측의 쌀·비료 지원 요청에 국내 여론이 악화되는 상황을 우려하면서 남북 경색이 민간교류까지 가로막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13일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이용선 사무총장은 장관급회담을 지켜보면서 답답한 심경도 있지만 민간의 인도주의적 협력은 남북한 긴장 완화를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대북 쌀 차관 50만t은 매년 관례적으로 지원, 북한의 식량 수급계획에도 포함돼 있을 것”이라며 “이를 갑자기 끊을 경우 주민의 생계가 어려워진다”고 주장했다.

미사일 정세 속에서 국제사회의 대북지원이 격감하는데 남한마저 식량지원을 끊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이 사무총장은 그러나 “북한의 태도가 남한과 세계의 정서와 동떨어져 있다”고 우려를 표하면서도 “정치·군사적 문제제기와 병행하면서 인도적 견지에서 최소한의 지원은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 북한은 미사일 시험발사 후에도 민간단체와 일상적 교류를 계속하고 있으며 소규모 방북단도 받고 있다.

한민족복지재단의 이경희 팀장은 12일 평양의대병원 개보수, 평안남도 숙천군 영농 지원, 평양 동성동 빵공장 사업 등을 위한 방북단이 들어갔다며 “NGO로서 인도주의적 사업은 계속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팀장은 또 북한의 쌀 요청에 대해 “1998년 미사일 발사 직후에도 대북 식량지원이 끊어져 아사자가 다수 발생했다”면서 “현재 북한의 쌀 사정이 좋지 않아 외부 지원이 끊어지면 안 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평양에 락랑섬김인민병원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기아대책의 차순호 부장도 “대북 여론이 안 좋아져 걱정이지만 북한 동포를 도와야 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미사일 정국’을 지켜보면서 북한에 분명히 문제제기를 해야 한다는 비판 여론도 일고 있다.

한 지원단체 관계자는 “민간단체도 우리 정부에 대한 요구뿐 아니라 북한에도 할 얘기를 해야 한다”면서 “북한 스스로 정말 이득이 되는 행동이 무엇인지, 이 시점에서 미사일을 발사했어야 하는지 분명히 말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여론이 악화되면서 단체의 활동에 제약이 생긴다”며 “북한이 절박하게 필요로 하는 쌀과 비료가 협상수단이 되는 모습에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국내 지원단체 관계자들은 ’대북 대화법’에서 강·온 양론을 내놓고 있지만, 미사일 발사로 조성된 긴장이 민간교류 경색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모습은 같았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