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은 북한이 지난 5일 미사일을 발사한 지 6일 만에 처음으로 이 문제에 관해 입을 열었다. 대통령은 11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할 수 없다.

그런데 일본 정치지도자들의 先制선제공격 발언으로 사태를 더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일본의 태도는 동북아 평화에 심상치 않은 사태를 일으킬 수 있다. 물러서려야 물러설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대한민국 국민들과 국제사회는 대한민국 대통령이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해 왜 침묵하는 것일까를 궁금하게 여겨왔다.

국민들은 대통령도 “스커드 미사일과 노동 미사일 발사는 대한민국에 직접적 위협이 아니다”라고 했던 참모들과 같은 판단을 하고 있는지, 대통령이 미사일이 발사된 지 한 시간 반이 지나서야 보고 받게 된 것이 과연 청와대 말대로 國益국익에 따른 적절한 판단의 결과인지에 대해 대통령이 직접 설명해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대통령이 이런 의문에 대해 한 말이라곤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할 수 없다”는 것뿐이었다.

대한민국 대통령의 침묵을 주시해왔던 국제사회도 이제야 대한민국 대통령은 북한 미사일은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고 그것이 빌미를 제공한 일본의 선제공격 발언에 대해서만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을 것이다.

북한이 발사한 7발의 미사일은 한반도 전역을 射程사정으로 하는 노동미사일 두 발, 스커드 미사일 네 발과 앞으로 미국 본토까지 겨냥을 목표로 한다는 대포동 미사일 1발이다. 그리고 대포동 미사일은 실험 발사에 실패했다.

그래서 미국도 북한 대포동 미사일의 위협은 5년 후에나 일이고 당장은 스커드와 노동 미사일이 위험하다고 했던 것이다.

일본은 헌법 체제상 일본 영토 밖인 북한을 공격할 수 없고 또 공격할 수 있는 군사 장비도 갖고 있지 않다.

물론 일본 각료의 선제공격 발언이 대한민국의 안전은 眼中안중에도 없다는 無道무도한 것이긴 해도 북한 미사일 발사가 훨씬 시급하고 현실적인 위협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대한민국 대통령이 이런 優先우선순위를 거꾸로 뒤집는 모습을 국제사회에 보여준 것이다.

이제 국제사회가 北核북핵과 미사일을 다루면서 대한민국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경우는 더욱 드물어질 것이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