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11일부터 열리고 있는 제19차 남북장관급회담은 일정이나 의제 면에서 지금까지와의 회담과는 상당히 다르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따라 한반도에 긴장감이 고조된 가운데 열리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회담을 최대한 간소하게 치르자는 정부의 뜻이 반영돼 일반적으로 회담 이틀째 오후에 가졌던 관광지나 유적지 참관을 이번에는 하지 않기로 했다.

남북 대표단은 12일 오전 전체회의에 이어 함께 점심을 먹은 뒤 13일 오후 늦게 예정된 종결회의 때까지는 다른 일정없이 수석대표나 실무대표 접촉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조율한다.

만찬 규모도 축소됐다. 통상 회담 첫날 저녁 국무총리가 주재하던 환영만찬을 이번에는 남측 수석대표인 이종석(李鍾奭) 통일부 장관이 주재했다.

외빈 초청도 크게 줄어 100명이 넘던 만찬 인원이 이번에는 60여명에 불과했다.

회담에 쓰이는 탁자가 원탁에서 사각 테이블로 바뀐 것은 작지만 많은 것을 시사해준다. 원탁은 작년 6월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열렸던 제15차 장관급회담에서 ’대결’을 연상시키는 사각 테이블을 대체하며 처음 등장했다.

그해 12월 제주도에서 열린 제17차 회담에서는 서울에서 원탁을 공수해오는 노력도 아끼지 않았다.

그럼에도 이번 회담에서 사각 테이블이 재등장한 것은 높아진 긴장감이 그대로 반영된 것 아니겠느냐는 관측이다.

무엇보다 이번 회담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것은 의제다.

남북 간 최고위급 채널인 장관급회담은 그동안 이산가족 상봉 등 인도적 문제부터 각종 경제협력 관련 사항과 군사적 긴장 완화 방안까지 광범위한 의제를 다뤘다.

작년 6월 서울에서 열린 15차 회담에서는 북핵 문제부터 이산가족 면회소 착공식, 안중근 의사 유해발굴 사업 공동 추진, 수산.농업 분야에서의 협력 등을 내용으로 하는 12개항으로 이뤄진 공동보도문을 타결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회담에서는 우리 정부가 회담이 열리기도 전에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6자회담 복귀’로 의제를 한정했다.

’미사일을 쏜 북한과 무슨 대화냐’는 대북 강경 여론에 대처하고 혹시 지원을 바라고 올 지 모르는 북한에 잘못된 신호를 주지 않기 위해서라는 분석이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