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간에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납북자 규모를 둘러싸고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국가정보원(원장 김승규)은 최근 한나라당 제2정조위원회(위원장 송영선)에 제출한 자료에서 1953년 정전협정 이후 지난해까지 총 489명의 납북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국정원이 공개한 납북자 규모는 대북 주무부처인 통일부가 그동안 공식자료를 통해 주장해온 485명보다 4명이 더 많은 수치다.

이에 따라 납북자 관련단체 등에는 정확한 납북자 규모를 묻는 문의전화가 빗발치고 있다.

이와 관련 통일부는 “국정원으로부터 공식자료를 넘겨받지 못해 납북자 규모의 차이를 설명하기 어렵다”면서 “이달 중 납북자 업무에 관계된 부처간 회의를 갖고 이견을 조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익명의 정부 관계자는 납북자 규모를 둘러싼 혼선에 대해 “국정원의 납북자 수치는 일부 납북피해자 단체들이 주장해온 대용호 선원 등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신빙성이 낮은 탈북자 증언에 의존하는 국군포로 규모와 달리, 전쟁이 종료된 상황에서 벌어진 납북사건을 둘러싼 정부 부처간 혼선에 대해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973년 대용호를 타고 납북됐다 탈북한 김병도씨는 “관계기관 조사과정에서 북한에서 만난 납북자 K씨,T씨 등에 대해 증언했는데 이같은 수치가 반영됐을 수 있다”면서 “하지만 부처간에 납북자 규모가 다른 이유는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최근 납북자 문제 증언을 위해 일본을 방문했던 최성용 납북자가족모임 대표는 “일본 정부는 일사분란하게 납치문제에 대응하고 있지만 한국 정부는 납북자 규모에서도 혼선을 빚고 있다”며 “납북자문제 해결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정부의 대응이 아쉽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국정원 측은 “납북자 수치 자체는 (489명이) 맞다”면서 “관련 부서에서 내용을 확인중”이라고 말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