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국군포로 송환문제와 관련, 1953년 7월27일 정전협정 체결 직전 전투에서 북측에 억류된 국군의 규모를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14일 “정부 내에서 정전협정 사각지대에 있던 분들을 우선 모셔오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만큼 현재 그 분들의 규모를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포로 협상이 시작된 1951년 7월부터 정전협정이 체결된 1953년 7월27일까지 벌어진 전투에서 포로가 된 국군은 당시 송환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며 “현재로서는 이 분들의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국방부 자료에 따르면 포로송환 협상 당시 유엔군사령부는 국군 실종자 수를 8만2천여명 이상으로 추정했지만 실제 송환된 사람은 8천343명에 그쳤다.

국방부는 작년 국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그해 9월 기준으로 북한에 생존해 있는 국군포로는 546명, 사망자 845명, 행방불명자가 260명 등으로 추정된다 고 밝힌 바 있다.

그동안 북한을 탈출해 귀환한 국군포로는 1994년 조창호씨 이후 모두 60명으로, 이 가운데 31명이 2003년 2월 이후 귀환했다.

북한은 ’국군포로는 전원 중립국송환위원회에 이관하였고 북한내에는 단 1명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이어서 국군포로 송환문제가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다.

정부는 2000년 제1차 남북 국방장관회담에서 국군포로 송환문제를 제기하는 등 각종 남북회담 때 북측에 포로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이종석(李鍾奭) 통일부 장관은 13일 국회에서 열린 열린우리당 정책의총에서 “국군포로는 1950년 6·25 전쟁 개시 후 한국군으로 복무하다가 붙잡혀 인민군으로 복무한 경우와 정전협정 체결 직전 잡혀간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면서 “정전협정 사각지대에 있던 분들을 우선 모셔오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